감동 글,뉴스

과일 노점상하며 평생 모은 전재산 400억을 아들들에게 주지않고 장학금으로 기탁한 노부부!

skyrider 2018. 10. 25. 19:43

머니투데이

과일 팔아 모은 '전재산 400억' 기부한 노부부

이동우 기자 입력 2018.10.25. 17:20  

 

고려대 개인 기부액 중 역대 최고..전문가 "기부 문화 확산 위해 투명성 높여야"
고려대학교는 25일 서울 동대문구에 거주하는 김영석씨(91, 왼쪽)와 양영애씨(83, 가운데) 부부가 평생 과일 장사로 모은 400억원의 재산을 기부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부부가 염재호 총장(오른쪽)과 환담을 나누는 모습. /사진제공=고려대학교


"나같이 초등학교도 나오지 못한 사람이 대학교에 기부할 수 있어서 너무 기쁘다."

평생 과일 장사를 한 노부부가 억척스럽게 모은 400억원(시가 기준)의 전 재산을 고려대학교에 기부했다. 이들 부부는 자신들이 모은 돈으로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이 훌륭한 인재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사회적으로 기부 문화가 싸늘하게 식어가는 가운데 성실히 살아온 부부의 거액 기부가 눈길을 끈다.

고려대는 25일 서울 동대문구에 거주하는 김영석씨(91)와 양영애씨(83) 부부의 기부식을 성북구 안암동 본관에서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들 부부는 200억원 상당의 청량리 소재 토지 5필지와 건물 4동을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에 기부했다. 이날 기부에 이어 이른 시일 안에 시가 200억원 상당의 토지 6필지와 건물 4동도 추가로 기부한다는 계획이다.

강원도 평강군이 고향인 실향민 김씨는 17살 월남해 6·25 한국전쟁에 참전한 국가유공자다. 경북 상주가 고향인 부인 양씨를 만나 1960년대부터 종로 5가에서 손수레를 이용해 과일을 팔기 시작했다.

부부는 특유의 억척스러움으로 빠르게 자리를 잡았다. 당시 종로 5가 시장통에는 한밤중에 과일을 납품하는 트럭이 들어왔다. 대다수 소매상은 오전 4시부터 과일을 받으러 나왔는데, 이들 부부는 일찌감치 자정 무렵부터 나가 상태가 좋은 과일을 챙겼다.


좋은 과일을 싸게 판다는 입소문이 나며 3~4시간이면 모든 과일이 팔려나갔다. 알뜰하게 모은 돈을 종잣돈으로 은행 대출을 얻어 1976년 처음으로 청량리에 상가건물을 매입했다. 이후에도 과일 장사를 하며 번 돈을 모아 나갔고 주변의 건물들을 하나둘 더 매입하게 됐다.

거액을 선뜻 기부한 이유는 어렵게 모은 재산을 물려주기보다는 좋은 곳에 쓰고 싶다는 마음이 컸기 때문이었다. 두 아들은 오래전 미국에 이민 갔다. 양씨는 "기부한 재산이 어려운 학생들이 공부하는데 힘이 되고, 훌륭한 인재를 길러내는데 소중하게 잘 사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들 부부가 기부한 400억원은 고려대가 설립된 이후 개인 기부자 가운데 역대 최고액이다. 개인 기부자들 대부분은 사업체를 운영하는 대표로 기부액은 1억원 수준인 경우가 많다.

염재호 고려대 총장은 "평생 땀 흘리고 고생해서 모은 재산을 교육과 인재양성을 위해 기부한 두 분의 고귀한 마음에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기부자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학교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노부부의 사연은 기부 문화가 빠르게 식어가는 세태를 돌아보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기부 규모는 2008년 9조원에서 2016년 12조8600억원까지 늘었지만, 기부 경험을 말하는 '기부 참여율'은 2011년 36.4%에서 지난해 26.7%로 매년 줄고 있다.


국민 소득 증가에 따라 기부의 규모 자체는 증가했지만 기부금 모집·사용에 대한 불신과 관련 제도의 미비로 기부에 참여하는 비율은 줄어드는 셈이다. 기부의향을 묻는 질문에도 '있다'는 답변이 2013년 48.4%에서 지난해 41.2%로 줄었다.

지난해 결손아동 기부금 127억원을 횡령한 새희망씨앗 사태와 딸 치료비로 12억원을 기부받아 빼돌린 이영학 사건 등이 발생하며 '기부포비아(공포증)'가 확산한 것도 이런 분위기에 영향을 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개인 기부 확대를 위해서는 투명성 확보와 제도 보완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임운택 계명대 사회학과 교수는 "우리 사회는 급속한 부의 형성 과정에서 나눔과 배려의 문화가 확산되지 않는데, 사회적 부를 공동체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사회 지도층부터 바꿔가야 한다"며 "기부금이 온전하게 사용되도록 법적 감시 체계를 확실하게 작동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동우 기자 canelo@, 서민선 인턴기자 seominsun@hanmail.net

관련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