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4대강, 막대한 예산 부어도 완공 못할 것" | 2011/01/31 10:23 |
조회수 2762 | 덧글수 0 | 스크랩 0 |
30여년 환경운동의 '버팀목' '음식쓰레기0' 몸소 실천도
"현정부 '학자괴롭히기'심해" 소신바꾼 전문가들에도 '일침'
![img_01.jpg](http://ftfile.hani.co.kr/editor/uploads/2011/01/31/rain_104409_88933_ed.jpg)
온산공단 공해병 논란, 영종도 신공항 건설, 시화호 오염, 새만금 간척, 한반도 대운하, 4대강 사업….
지난 30여년 동안 우리 사회를 달군 굵직한 환경사건들이다. 그 논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1세대 환경공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인 김정욱(65)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늘 주역의 한 사람이었다. 새달 정년퇴임하는 김 교수는 27일 ‘가장 기억에 남는 사건이 뭐냐’는 질문에 “옛날 생각할 겨를이 없다”고 답했다. 법원 판결, 예산 통과, 친수법 통과 등으로 거칠 것 없이 추진되고 있는 ‘4대강 사업’ 문제가 워낙 크고 중요하기 때문이다.
“4대강 사업은 절대로 완공할 수 없는 사업입니다. 높아진 강의 수위에 맞춰 배수 시스템과 토지 이용 등을 모두 바꾸려면 아마 50조원 이상이 들 겁니다. 계속 쌓일 강바닥의 토사 준설과 자전거길 등 천변 시설과 보(댐) 관리에도 막대한 돈이 들어 결국은 강을 보가 없던 옛날로 돌려보내야 할 겁니다.”
김 교수는 또 1991년 페놀사태 이후 30조원 이상을 들인 결과 강물은 꽤 맑아졌지만 호수의 수질은 나빠졌음을 들어 “호수로 바뀔 4대강의 부영양화는 아주 심각할 것”이고 우려했다.
국내 1세대 환경공학 전문가로 82년 서울대 교수가 된 이후 그는 환경운동의 든든한 버팀목이었다. 89년 첫 전문가 환경운동단체인 환경과공해연구회 회장으로 취임한 김 교수는 “돈과 권력이 있는 곳에는 전문가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지만 환경오염 피해를 입은 가난하고 힘없는 주민들을 도와주거나, 시민들에게 학문을 알기 쉽게 전달해 주는 전문가는 드물다”고 말하곤 했다.
하지만 늘 환경과 시민 편에 선 그를 어느 정부도 달가와하지 않았다. 김대중, 노무현 정부와도 새만금 사업 등을 놓고 갈등을 빚었다. 그는 “지금와서 보면 민주정부의 환경정책이 문제는 많았어도 사람을 대하는 태도는 현 정부와는 크게 달랐다”고 말했다.
“전두환·노태우 정권 때도 그런 일은 없었다”고 꼬집은 그는 현 정부 아래에서 벌어지는 ‘환경학자 못살게 굴기’의 경험을 털어놓았다.
전국 방방곡곡을 찾아다니며 4대강 반대 강의를 하는 그의 강의 장소에는 어떻게 알았는지 다섯명이 돌아가며 찾아와 김 교수를 비난하는 손팻말을 들거나 고함을 쳐 강의를 방해했다.
대학 당국에서는 벌써 여러 해 전 특강 수업에 30분 늦은 사실을 들춰내 안식년 중인 그로부터 사유서를 받아가기도 했다. “누군가 과거 비리가 있나 털어 보는 것 같았습니다.”
4대강 사업에 반대하는 다른 교수들과 마찬가지로 그 역시 정부 연구비 신청은 아예 엄두도 내지 않는다. 직접 확인하진 못했지만 학계에 ‘블랙리스트 교수’가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정부와 보수언론이 ‘반대를 위한 반대꾼’으로 매도하는 데 대해 그는 “결코 환경 하나만을 고집하지 않았고, 선진국 수준의 주장을 했을 뿐”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오히려 권력에 아부하거나 굴종해 과거의 학문적 소신을 바꾼 전문가들이야말로 진정한 과학자의 길을 가지 않고 있다며 “현 정부의 치적이라면, 전문가의 옥석을 구분할 수 있게 해 준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퇴임 이후에도 에너지나눔과평화 이사장, 기독교환경연대 공동대표 등 시민운동을 계속할 예정이다. 그의 환경실천 하나. 77년 서울 청담동의 단독주택에서 살기 시작한 이후 단 한점의 음식쓰레기도 집 밖으로 나가지 않았다. 음식쓰레기는 모두 지렁이에 의해 퇴비로 바뀌어 정원으로 돌아갔다.
글·사진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명문 컬럼,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이 있는 정치가와 저잣거리의 막무가네 장삿꾼을 비교하다니... (0) | 2011.02.05 |
---|---|
오바마가 부러워하는 우리의 국민건강보험을 누가 미국의 망국적 민영화로? (0) | 2011.02.05 |
구제역? 자신의 공치레보다 더 중요한 건 없다. 임기내 죽어도 4대강 GO! (0) | 2011.01.31 |
자신의 정치적 치적을 위해 비싼금리로 돈 빌려서 싼금리로 빌려줘? (0) | 2011.01.31 |
정권 끝나면 그 죄를 어찌 받을꼬? (0) | 2011.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