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행기술

[스크랩] 역전층이란.

by skyrider 2011. 2. 21.

기온의 역전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기층. 이같은 기층은 전선부근에 필히 존재한다.

 

또한 동일 기단내에서도, 야간의 방사냉각으로 지상이 빨리 열을 잃어 그 결과 하층공기는 냉각되나,

그 냉각이 상층까지 미치지 않으므로, 상층의 공기는 하강치 않고, 상층의 공기쪽이 온도가 높아지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역전층이 있으면, 대류가 생기지 않아, 하방의 기층이 안정되어 연무등의 발생하기 쉽다.

 

다시 풀어서 써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⑴ 기온의 역전층

 ① 역전층: 대류권에서 높아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아지는 기층으로 대류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대단히 안정하다.

 ② 기온감률 < 단열감률(기온이 높이에 따라 낮아지는 정도를 기온감률이라 한다)

 

 ⑵ 역전층의 생성과 소멸

 ① 생성: 야간 복사 냉각이 심한 맑은 날 새벽

 ② 새벽에 가장 두껍게 형성되고 낮에는 소멸된다.

 

 ⑶ 역전층과 기층의 안정도

 ① 역전층에서는 무거운 공기가 아래에 있고, 가벼운 공기가 없으므로 안정한 상태

 ② 역전층은 안정하므로 공기의 대류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공기의 오염이 심하다.

 

 ⑷ 역전층이 형성되는 경우

 ① 바람이 없고 맑은 날 밤에 지면이 복사 냉각될 때

 ② 찬 지면이나 찬수면 위로 따뜻한 공기가 이동해 갈 때

 ③ 더운 공기가 찬 공기를 타고 상승할 때

 

열의 이동이 역전층까지가 되므로 따라서 우리가 비행을 하여 올라갈 수 있는 높이라 할 수 있다.

출처 : 백미 안병석
글쓴이 : 백미안병석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