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lse{ var randNum = Math.floor(Math.random() * 2); //alert(randNum); //randNum = 1; //if(randNum == 0){ // document.write(""); //}else{ document.write("\

“선거 때마다 젊은층이 투표장에 쏟아져 나올까 봐 가슴 졸여온 한나라당은….”

조선일보 10월 24일자 <선거철만 되면 부모 자식 말 안 통한다는 사회>라는 사설의 일부이다. 보수언론의 이번 지적은 일리가 있다. 젊은층이 투표장에 쏟아져 나오면 왜 가슴을 졸여야 하는가.

나라를 다스리기를 꿈꾼다면 정치를 하고 싶다면 더 많은 국민이 선거를 통해 정치에 참여하길 원해야 하는 것 아닌가. 20대 젊은층부터 60대 이상 어르신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견해를 경청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정치’에 반영하라고 정치인 하겠다는 것 아닌가.

정치인 누구라도 나 혼자 잘 먹고 잘 살겠다고 정치한다고 말하는 이들은 없다. 누구나 서민을 얘기하고 사회적 약자를 얘기하며 청년을 얘기하고 어르신들을 얘기한다. 그들을 위한 정책을 다짐하고 또 다짐한다. 환한 얼굴로 웃으며 악수를 청하고 약속, 또 약속을 한다.

 

   
지난 4·27 재보궐선거 분당을 출구조사에서 당시 김무성 원내대표와 나경원, 서병수 최고위원 등 한나라당 지도부가 패배한 것으로 발표되자 심각한 표정을 짓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면 실천하면 된다. 왜 젊은층이 투표장에 쏟아져 나올까 봐 가슴을 졸이는가. 이것은 얼마나 부끄러운 장면인가. 정말 부끄러운 장면 아닌가. 언론이 쏟아내는 10·26 재보궐선거 투표율 관련 분석기사에는 공통점이 있다.

 

투표율 45% 이상이면 박원순 후보가 유리하고 이하라면 나경원 후보가 유리하다는 반응이다. 한나라당이 반성해야 할 점은 그런 언론 분석의 원인제공자가 바로 한나라당이라는 점이다. 투표율이 낮아야 승리할 수 있는 정당, 젊은이들이 투표에 무관심해야 승리할 수 있는 정당이 돼 버렸다는 얘기다.

한나라당은 젊은 유권자 정치참여를 왜 두려워하나.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싶은가. 그렇다면 한나라당이 할 일이 있다. 다음 선거부터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대학가 부재자 투표소 대폭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주소와 현 거주지가 달라서 지방에서 서울로, 서울에서 지방으로 이동하지 않아도 부재자 신고 만으로 대학 안에서 투표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얘기다. 그러면 젊은 대학생들의 투표 열기가 뜨거워지지 않겠는가.

더욱 근본적인 방법이 있다. 지금은 지정된 투표장소에서 투표를 해야만 한다. 가정으로 배달된 투표 안내 장소, 바로 그곳에 가지 않으면 투표 당일에 투표를 할 수 없다. ‘IT 강국’이라고 자랑하는 대한민국에서 왜 아날로그 냄새 풀풀나는 방식을 고집하는가.

주목할 대목이 있다. 그런 형식의 선거는 선거관리위원회에서도 바라는 바가 아니라는 점이다. 선관위는 꾸준히 정치권 쪽에 선거 방식 변화에 대해 건의를 하고 있다. 법을 바꾸는 역할은 국회의 몫이다. 다시 말하면 국회가 판단하면, 결정하면 선거 방식은 획기적으로 바뀔 수 있다.

어려운 출근 시간, 퇴근 시간 굳이 지정된 투표장소를 찾지 않아도 투표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자신의 신분만 확인할 수 있다면 전자 투표 방식을 통해 지하철역에서 버스 정류장 앞에서, 백화점이나 쇼핑몰 앞에서, 심지어 등산로 입구에서 투표를 할 수도 있다.

그 정도의 ‘선거 시스템’은 감당할 수 있는 게 대한민국의 IT 기술력이다. 전자투표는 지금 한나라당을 포함해 민주당 등 대부분의 정당이 ‘정당 선거’에 이용하고 있다. 한나라당 당원 중에, 민주당 당원 중에 60대 이상 어르신들이 없겠는가.

정치권이 마음만 먹으면, 국회가 판단만 하면 투표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얘기다. 투표의향이 있는 누구나 어렵지 않게 투표소를 찾아서 길게 줄을 서지 않더라도 투표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왜 그렇게 하지 않는가.

대의 민주주의는 시민들의 정치참여가 활발해져야 뿌리가 튼튼해지는 법이다. 재보선에서 투표 참여 자체를 어렵게 하고, 투표를 위한 최소한의 장치(출퇴근 시간 조정 등)도 마련해주지 않고서 선거가 끝나면 투표율이 저조하다 어쩌다 하면서 대의민주주의 실종이라고 기사를 쓰는 언론도 반성해야 한다.

유권자가 정치에 참여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그들에 맞서 세상을 변화시키기 최소한의 실천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투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