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lse{ var randNum = Math.floor(Math.random() * 2); //alert(randNum); //randNum = 1; //if(randNum == 0){ // document.write(""); //}else{ document.write("\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이 자신의 휴민트(인적 징보망) 붕괴 발언에 대해 ‘대응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밝힌 청와대를 두고 “한심하다”고 힐난했다.

정두언 의원은 지난 22일 밤 자신의 트위터에 “저에 대한 언론보도에 대해서 청와대에서 고위관계자라는 익명으로 논평이 나오는데 참 한심하다. 청와대 고위직급이라면 떳떳이 자기 이름을 밝히고 얘기를 해야지 왜 익명으로 얘길 하는지, 이런 자들이 대통령 주변에 있으니…”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정 의원은 지난 21일 트위터에 “이 정부 출범 전 소위 대북 휴민트(인적 정보) 체제가 와해되었다”며 “그런데 그 이유가 가관이었다. 이들이 이명박 음해세력이었다는 거다”라고 올렸다. 정 의원은 이어 “일국의 소중한 자신이 이런 모략 한 마디에 날아가는 한심한 일들이 다반사였다”며 “다 국정농단세력이 벌인 일들”이라고 적었다.

국정농단세력은 현 정부의 실세로 ‘왕차관’이라고 불렸던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제2차관을 가리키며, 이로 인해 붕괴된 대북 휴민트 체제는 서훈 전 국정원 3차장 및 3차장실을 말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같은 정 의원의 주장에 대해 지난 22일 “특별히 할 말이 없다”며 “일일이 대응할 필요를 못 느낀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 ©CBS노컷뉴스

 

청와대의 이 같은 해명에도 정 의원이 제기한 의혹은 매우 신빙성이 있다는 것이 언론 보도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최근 언론들은 정 의원의 발언을 계기로 대북 휴민트 체계가 붕괴된 내막에 대해 소상히 보도하고 있다.

한겨레는 23일자 3면 <“대북라인 핵심 3명 정권 초기 한번에 다 날렸다”>에서 “차장과 국장, 과장 등 세 명이 대북라인의 핵심이었는데, ‘반엠비 성향’이라고 뒤집어씌워 그들 셋을 한꺼번에 다 날렸다”는 여권의 한 관계자의 말을 비중있게 전했다.

한겨레는 또 “원세훈 국가정보원장이 인사위원회 등 공식 절차를 무시하고 무원칙하게 인사를 하면서 대북정보에 허점이 생겼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국정원 내부에 경남-충정 라인이 득세하면서 다른 지역 출신들은 배제되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고 전했다.

중앙일보는 23일자 2면 <대북 ‘휴민트’ 붕괴 놓고 정두언․박영준 정면충돌>에서 “정 의원은 22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2008년 초 북한이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에 사절을 파견하는 문제를 협의하자고 연락이 왔지만, 박영준 당시 당선인 비서실 총괄팀장이 서훈 국가정보원 3차장을 대북 업무에서 손 떼게 하는 바람에 취임식 참석이 무산되고 말았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원에 따르면 당시 정 의원을 경계하던 박 팀장이 서 차장을 “‘반 이명박 성향’의 인물”이라는 보고를 해 취임식 불발은 물론 서 차장도 ‘아웃’ 됐다는 것이다.

노무현 정부 때 국정원장을 지낸 김만복 전 원장도 22일 민주통합당 비공개 회의에서 “서 차장을 비롯한 핵심 대북 정보라인이 이명박 정부 집권과 함께 물갈이됐다”며 “이는 대북 포용정책을 폈던 이전 정권과 정책 기조가 달랐던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 의원은 최근 한나라당이 북한 조문단 파견에 보인 태도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정 의원은 23일 트위터에 “중도보수가 대세가 된 한나라당이 경제정책뿐 아니라 대북정책에서도 전향적인 변화를 보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이번 조문정국이었으나 박체제는 이를 놓치고 오히려 더 과거로 선회. 최소한 이명박 정부보다는 앞서가야 하는데 그보다도 못하니…”라고 지적했다.

한나라당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소식이 알려진 19일 집권여당임에도 논평을 내지 않는 등 조의에 대한 의견을 밝히지 않았다. 또한 국회 차원의 조문단 파견과 민간 조문단 범위 확대를 요구한 민주통합당의 입장에 대해서도 거부 의사를 밝혔다. 이로 인해 박 비대위원장이 지나치게 보수 세력들의 눈치를 보는 것이 아니냐는 당 안팎에서 비판이 나왔다.

보수지로 분류되는 중앙일보조차 21일 칼럼에서  “그(박근혜)가 앞장서 남북 관계의 물꼬를 트는 역할을 했으면 한다”며 “무엇보다 한반도 평화가 내년 대선의 시대정신일 수 있다는 점을 기억했으면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