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을 울린 시모네신부
#좋은글
이 글은 band[명예의전당]에서 가져왔습니다
크리스마스에 읽기 좋은글 같습니다
새 추기경 명단에 오른 알바니아 은퇴 사제 시모네 신부(평화신문)
교황을 울린 88살 신부가 추기경이 됐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9일 발표한 새 추기경 17명 명단에 알바니아의 은퇴 사제 에르네스트 시모네 신부가 들어 있어 눈길을 끈다. 프랑스 신학자 이브 콩가르 등 몇몇 사례가 있기는 하지만, 신부에서 주교를 건너뛰고 바로 추기경이 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시모네 신부는 2년 전 교황이 알바니아를 사목 방문했을 때, 공산 정부의 탄압으로 고초를 겪은 체험을 발표해 교황을 눈물짓게 한 인물이다. 그의 감동적인 신앙고백이 끝나자 교황은 눈물을 글썽이면서 다가가 인고의 가시밭길을 헤쳐온 그를 꼭 껴안아주었다. 두 사람은 단상에서 1분 가까이 부둥켜안고 무언의 위로를 주고받았다. 그는 ‘종교의 씨’까지 말려 죽이려 한 공산 통치하에서 두 번이나 사형선고를 받고, 18년 동안 강제수용소에서 중노동에 시달리면서도 사제의 본분을 잊지 않았다.
그는 1963년 성탄대축일 미사 직후 정보원들에게 끌려가 고문을 당했다. 암살당한 전임 대통령을 미사 중에 기억하고, “그리스도를 위해 죽을 수 있다”고 발언한 것이 죄목이었다. 악명 높은 독재자 엔베르 호자가 종교 말살 정책을 펴던 시절이다.
그는 사형선고를 받았지만 얼마 뒤 중노동 형으로 감형됐다. 노동수용소는 자신의 몸뚱이 하나 건사하기에도 힘겨운 곳이다. 하지만 동료들을 모아 몰래 미사를 봉헌하고, 아픈 이들을 찾아다니며 돌봤다. 절망뿐인 잿빛 수용소에 희망의 빛을 비춘 영적 지도자였다.
그는 수감자들 시위에 연루돼 또 사형선고를 받았으나 동료들의 탄원 덕에 죽음을 모면할 수 있었다. 공산 정부가 몰락한 1990년에야 완전한 자유의 몸이 됐다.
그는 교황 앞에서 이렇게 말했다. “예수님은 원수까지 사랑하고, 어려운 사람들(수감자들)을 도우라고 가르치셨습니다. 그게 전부입니다.”
그의 추기경 서임은 교황이 공산 치하에서 희생된 알바니아 성직자들에게 바치는 경의(敬意)라는 의미도 있다.
이 기사를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정말로 “그리스도를 위해 죽을 수 있다.”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까요? 힘든 노동수용소에서도 영적 지도자로 살아갈 수 있을까요? 교황님과 부둥켜안고 울고 있는 모습에서 큰 감동을 받습니다.
사진설명: 교황은 안경을 벗고 울었다. 두 사람은 부둥켜안고 무언의 위로를 주고받았다.ㅡ
아래 영상은 band[인문학스콜레]에서 가져왔습니다
'감동 글,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다리가 없는 어린애를 입양하는 양부모와 구김살 없이 자라 체조선수가 된 아이, 생모와 친자매들을 만나다! (0) | 2017.01.27 |
---|---|
이재명 성남시장, 소년공 시절 일하던 공장 잎에서 대통령 출마 선언! (0) | 2017.01.23 |
위인은 역시 그릇이 달라! 방정환 선생의 일화- 강도도 감화시켜 개과천선 시킬 수 있는 힘! (0) | 2017.01.13 |
처음 만난 개도 은혜를 안다! 소방관과 도베르망 (0) | 2017.01.10 |
국회 환경미화원 국회 정규직 되다! 당연한 일이 감동의 뉴스가 되는 나라! (0) | 2017.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