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만의 인간혁명]6번째 대멸종, 핵보다 지구를 더 위협하는 건
- 기자
윤석만 기자
![아버지와 함께 낯선 행성에 불시착한 10대 소년 키타이는 온갖 어려움을 뚫고 자신과 아버지를 구해낸다. 영화는 먼 미래에 오염이 심해 더이상은 살기 어려운 지구를 떠나 새로운 행성에서 살아가는 인류를 그렸다. [영화 애프터 어스]](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0/28/9d41a215-9b9a-4e2f-b16c-d9410646f4da.jpg)
Danger is real, but fear is choice.
키타이는 온갖 위험을 무릅쓰고 모험을 떠납니다. 이 행성엔 각종 맹수와 식인 식물이 가득합니다. 그리고 이 때 알게 되는 놀라운 사실. 이들이 불시착한 곳은 다름 아닌 지구였습니다. 1000년 전 지구는 극심한 환경오염으로 인간이 살 수 없는 곳으로 변하고 맙니다. 가까스로 살아남은 인류는 지구를 떠나 ‘노바 프라임’이라는 새로운 행성에 삶의 터전을 마련하죠. 반면 지구의 모든 생명체는 오염의 주범이었던 인간을 공격하게 진화돼 있었습니다.
조난신호기를 찾아가는 여정에서 키타이는 매 순간 생과 사의 기로에 놓입니다. 그 때마다 공포에 떠는 아들에게 사이퍼가 차분히 말합니다. “위험은 현실이야, 하지만 두려움은 선택이지. 현실은 받아들이는 거지만 선택은 네가 결정하는 거야.” 아버지의 진심어린 조언에 용기를 얻게 된 키타이는 이후에도 몇 번의 죽을 고비를 넘겼지만, 포기하지 않고 성공적으로 자신의 임무를 완성합니다.
![실제 부자지간인 윌 스미스와 제이든 스미스가 아버지와 아들 을 연기했다. [영화 애프터 어스]](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0/28/89982768-9fd1-41d4-bb6d-a91d6f4b8ea4.jpg)
그런데 또 한 가지 기억에 남는 건 영화 속에서 인간이 살 수 없을 만큼 지구가 크게 오염되고, 그런 지구의 모든 생명체는 인간을 죽이게끔 진화됐다는 겁니다. 지구의 입장에선 인간이 살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 자정작용의 일환이었다는 거죠. 즉 인간의 과도한 욕망과 무분별한 개발, 그리고 이로 인한 환경오염은 지구에겐 하나의 큰 질병이었던 셈입니다. 영화는 상상 속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뭔가 모를 찝찝함이 계속 남아 있는 건 꼭 비현실적인 이야기만은 아닐 거란 우려 때문입니다.
![태평양 한 가운데 위치한 쓰레기 섬. 전 세계에서 버려진 플라스틱과 알루미늄캔, 비닐 등 쓰레기가 해류를 타고와 거대한 섬을 이뤘다. 면적은 70만㎡로 한반도(22만㎡)의 3.2배에 달하며 계속 커지고 있다. [그린피스]](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0/28/a0d25431-d0c9-4567-92d3-74b3cbc67ab3.jpg)
태평양 한 가운데 위치한 쓰레기 섬. 전 세계에서 버려진 플라스틱과 알루미늄캔, 비닐 등 쓰레기가 해류를 타고와 거대한 섬을 이뤘다. 면적은 70만㎡로 한반도(22만㎡)의 3.2배에 달하며 계속 커지고 있다. [그린피스]
세계자연기금(WWF)은 매년 ‘생태환경 초과일(Earth Overshoot Day)’을 선포하는데 이는 1년간 지구가 제공하는 생태자원을 모두 써버린 날짜를 뜻합니다. 인간이 지구의 1년 치 생태자원을 모두 써버리기 시작한 건 불과 40년도 안 된 일입니다. 1970년 12월31일이었던 생태환경 초과일은 올해는 8월2일이었고 앞으론 더욱 빠른 속도로 날짜가 앞당겨질 겁니다. 언젠가는 이 날짜가 3월, 2월이 되고 급기야는 1월이 될 날도 오겠죠.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이처럼 지구는 계속 한계상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이 시대 최고의 천재 중 한명으로 불리는 스티븐 호킹 박사는 길게는 100년, 짧게는 30년 안에 지구를 떠나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등으로 지구에 더 이상 살 수 없게 될 것”이라는 이유입니다. 영화 애프터 어스의 이야기처럼 현대판 노아의 방주를 만들어 다른 행성으로 떠나야할 날이 곧 다가올지도 모르겠습니다.
![자코보 바사노의 '노아의 방주에 들어가는 동물들'(1570). [중앙포토]](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0/28/8480bc8a-a7c5-4d19-94a9-14e43c46f520.jpg)
자코보 바사노의 '노아의 방주에 들어가는 동물들'(1570). [중앙포토]
실제로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과 환경오염은 다른 생물 종을 멸종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세계자연기금(WWF)과 런던동물학회(ZSL)에 따르면 1970년대 이후 척추동물은 종별로 평균 58%씩 감소했습니다. 이런 흐름이라면 2020년에는 동물 종이 현재의 3분의 1로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기후 변화와 환경오염 등이 주된 원인이죠. 생물의 다양성은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결국 인간의 삶에도 나쁜 영향을 미칩니다.
물론 그 어디에도 영원한 종은 없습니다. 어느 생명체든 언젠간 멸종을 하고 말죠. 다만 과거엔 자연의 변화에 의해 멸종이 이뤄졌으나 지금은 인간이 만들어낸 기술과 그로 인한 오염으로 멸종이 앞당겨지고 있다는 겁니다. 즉, 인간 스스로 멸종을 자초하고 있다는 이야기죠.
![삶의 터전을 잃어가는 북극곰 엄마와 아기. 지구 기온이 높아지면서 북극의 빙하가 녹고 있다. [그린피스]](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0/28/66376240-3434-473d-8a80-49a51174537c.jpg)
삶의 터전을 잃어가는 북극곰 엄마와 아기. 지구 기온이 높아지면서 북극의 빙하가 녹고 있다. [그린피스]
45억년 지구 역사에선 지금까진 5번의 대멸종이 있었습니다. 대략 35억 년 전 최초의 생명체가 지구에 나타난 이후 수많은 종들이 생겨났지만 이들 중 99%는 자취를 감췄습니다. 특히 4억4500만 년 전 첫 번째 대멸종에선 생물의 절반이, 가장 심각했던 3번째 대멸종(2억5000만 년 전)에선 전체 생명의 95%가 사라졌습니다. 마지막이었던 6500만 년 전 5번째 대멸종에선 당시 지구의 주인이던 공룡이 지구상에서 없어졌습니다.
이처럼 대멸종은 주로 자연의 법칙에 따라 일어나기에 멸종 자체를 막는 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우주의 섭리를 거스를 순 없단 이야기죠. 다만 문제는 인간 스스로 멸종을 앞당기고 있다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이를 6번째 대멸종이라고 부르죠. 그리고 이미 대멸종의 초입에 들어와 있다는 게 이들의 분석입니다. 인간이 대멸종을 앞당기고 있다는 의미를 포함해 지질학자들은 현재의 시대를 ‘인류세’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6번째 대멸종의 가장 큰 신호는 지구온난화입니다. 화석에너지 사용 등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늘면서 지구의 기온이 계속 높아지고 있죠. 현재 지구의 온도는 19세기에 비해 약 1도가량 높아진 상탭니다. 지금보다 기온이 1.6도 더 오르면 지구 생명체의 18%가 멸종하고, 2도 오르면 빙하가 사라진다고 합니다. 또 3.5도 오르면 해수면 높이가 7m 상승하면서 바다에 잠기는 나라들이 많아질 겁니다. 최종적으로 6도 이상 오르면 대멸종이 완성돼 모든 인간은 없어질 거라는 전망입니다.
![지구의 온도 변화 [비상학습백과]](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0/28/c7c4f023-e0de-49d0-9e25-f1c9a77f22c5.jpg)
지구의 온도 변화 [비상학습백과]
수 천만 년 또는 수 억 년 뒤에 지구의 주인들은 6번째 대멸종이 있었던 인류세의 지질학적 특성을 무엇이라고 판단할까요. 지금까지 인간은 지표면 아래 쌓인 퇴적층에서 삼엽충과 암모나이트 등의 화석을 발견해 지질 시대를 구분했죠. 아마도 미래 지구의 주인들은 인류세의 대표적 지질적 특성으로 동물의 화석보다는 플라스틱과 알루미늄 캔, 비닐 등을 떠올리지 않을까요.
실제 지질학자들의 분석에서 흥미로운 것 중 하나는 인류세의 대표 화석이 닭뼈가 될 것이란 설명입니다. 공룡의 뼈가 중생대의 트라이아스기부터 백악기까지를 대표하는 화석인 것처럼 현 시대의 대표 화석은 닭뼈가 될 거란 이야기죠. 얀 잘라시비치 영국 레스터대 교수처럼 인류세를 지지하는 지질학자들은 20세기 중후반부터 급격히 늘어난 닭 소비량이 인류세의 개념을 규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관련기사
[윤석만의 인간혁명]두 얼굴의 애덤 스미스, AI 시대의 공감능력
[윤석만의 인간혁명]지식붕괴의 시대, 세종의 공부법이 뜬다
[윤석만의 인간혁명]사피엔스는 틀렸다, 진화의 끝은 AI?
[윤석만의 인간혁명]신이 된 인간, 인류의 멸종 앞당길까
[윤석만의 인간혁명]학교의 종말, 다시 '전인교육'의 시대가 온다
[윤석만의 인간혁명]신(新) '20대 80의 사회', 가짜 직업의 시대
전 세계에서 소비되는 닭의 수는 1년에 600억 마리에 달합니다. 세계인구(70억 명)로 나누면 1인당 매년 8마리 반씩 먹는 분량입니다. 한국만 해도 치킨과 삼계탕처럼 다양한 닭 요리가 우리의 식탁을 채우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닭의 사육이 대폭 늘어난 것과 6번째 대멸종이 무슨 관계냐고요?
물론 닭 자체가 생물의 멸종을 부르진 않습니다. 닭과 소, 돼지 등으로 대표되는 가축이 크게 늘면서 자연 상태에서 생물 종간의 균형이 깨지고 있다는 게 문제죠. 전 세계의 소는 약 13억 마리, 돼지와 양은 10억 마리 정도가 존재합니다. 반면 동물의 왕인 사자는 4만 마리도 안 되고 판다는 1000여 마리만 남았습니다. 가축화 된 개는 4억 마리에 달하지만 야생 늑대는 20만 마리가 채 되지 않습니다. 인간이 식량으로 쓰기 위해, 또 반려동물로 키우기 위해 가축동물의 개체 수가 급격히 늘면서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고 있다는 거죠.
![피터 브뤼겔의 '바벨탑'(1563). 구약성경에는 바벨탑에 대한 일화가 나온다. 인간은 높고 거대한 탑을 쌓아 올리는데, 이런 오만한 행동에 분노한 신이 벌을 내렸다. 원래 하나였던 언어를 여러 개로 분리해 서로 흩어져 살도록 했다. 바벨탑 건설은 혼란만 남긴채 중단됐고 인간들은 서로를 불신하고 오해하며 살게 됐다. [네이버 지식백과]](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0/28/f8bb9a5d-4e2a-4bfd-a783-2687904689bf.jpg)
피터 브뤼겔의 '바벨탑'(1563). 구약성경에는 바벨탑에 대한 일화가 나온다. 인간은 높고 거대한 탑을 쌓아 올리는데, 이런 오만한 행동에 분노한 신이 벌을 내렸다. 원래 하나였던 언어를 여러 개로 분리해 서로 흩어져 살도록 했다. 바벨탑 건설은 혼란만 남긴채 중단됐고 인간들은 서로를 불신하고 오해하며 살게 됐다. [네이버 지식백과]
단순히 숫자가 늘었다고 해서 문제가 되는 건 아닙니다. 중요한 건 이들이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이 지나치게 많다는 거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식용 가축동물(닭·돼지·소·양)이 배출하는 온실가스 양은 한 해 7기가t이 넘습니다. 전체 온실가스의 14%에 해당하며, 전 세계의 자동차가 뿜어내는 온실가스의 양과 비슷합니다. 특히 가축이 트림이나 방귀를 통해 배출하는 메탄(3기가t)은 전체 배출량의 44%에 달합니다. 메탄은 열을 공기층에 가두는 능력이 이산화탄소보다 28배나 강하기 때문에 치명적인 온실가스로 분류됩니다.
그런데 전 세계 육류 소비량은 1995년 2억t에서 2015년 3억1000t으로 56% 늘었습니다. 1인당 평균 소비량도 27.5㎏에서 34.1㎏로 증가했죠. 특히 한국은 같은 기간 170만t에서 330만4000t으로 2배가량으로 늘었습니다. 세계식량기구(FAO)는 육류 소비량이 2050년에 현재 수준보다 70%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개발도상국가를 제외한 나라들에선 지난 수 십 년 간 폭발적으로 육류 소비가 늘었고, 이는 곧 영양과잉 문제를 야기합니다
.
비판적으로 바라본 인간의 진화 단계. 재생 버튼을 누르세요. [유튜브]
유발 하라리에 따르면 2010년 전 세계에서 테러로 죽은 사람은 7697명이지만, 비만 관련 질병으로 죽은 사람은 300만 명에 달합니다. 인간은 테러·전쟁·핵무기로 죽는 게 아니라 많이 먹거나 또 운동을 하지 않아서 죽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일상생활의 욕심과 나태가 그 어떤 전쟁 무기보다 위험하다는 것이죠.
자, 그럼 이제 우린 어떻게 해야 할까요? 6번째 대멸종이 시작된 지금, 이전처럼 손을 놓고 있다면 그 시기는 더욱 빨라져 우리의 아들·딸, 손주들이 직접 그 피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물론 우리가 살아 생전에 대멸종을 겪을 가능성은 낮겠죠. 하지만 머지않은 미래에 우리는 6번째 대멸종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시기가 올 겁니다. 그 때의 후손들은 일찌감치 이 문제를 고민하지 않고 멸종의 시기를 앞당겨 온 현재의 우리들을 원망하게 되겠죠.
더욱 가슴 아픈 건 이렇게 중요한 이슈인데도 불구하고 많은 국가 지도자들이 문제 해결에 앞장서지 않는다는 겁니다. 오히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처럼 기후변화협약을 탈퇴한다며 시계를 거꾸로 돌리는 사람들도 있죠.
![지난 6월 미국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파리기후변화협약 탈퇴를 발표 중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그는 ’협약은 미국에 불이익을 가져다준다“고 주장했다. [AP=연합뉴스]](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0/28/db16394e-e3e8-4873-a9ea-7ace5492d4dd.jpg)
지난 6월 미국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파리기후변화협약 탈퇴를 발표 중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그는 ’협약은 미국에 불이익을 가져다준다“고 주장했다. [AP=연합뉴스]
그 이유는 다름 아닌 우리들 자신 때문입니다. 미래에 다가올 대멸종을, 지금의 환경오염과 기후변화를 우리의 일이 아니라 남의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지도자들도 아무런 신경을 쓰지 않는 겁니다. 당장 먹고 살기 급급하고, 생존하는 게 삶의 목표였던 시대에는 이런 고민을 할 여력이 없었죠. 그런데 지금은 아닙니다. 무엇보다 인간혁명이 중심이 돼야 하는 4차 혁명 시대에는 지구와 자연, 그리고 미래를 생각하는 실천이 필요합니다.
2016년 경주에선 진도 5.8의 강진이 발생해 큰 충격을 줬습니다. 지진에 있어서만큼은 안전지대라고 여겼던 한반도에서 발생한 강진이었기에 많은 이들이 겁에 질리고 우려를 표했습니다. 이 뿐 아니라 세계 각지에선 이상기온 현상과 예상치 못한 허리케인·토네이도 등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해수면 상승과 쓰나미 같은 일들이 많아지는 건 어쩌면 지구가 우리에게 던지는 심각한 경고일지 모릅니다. 지금처럼 함부로 지구를 사용하고, 다른 생물 종을 파멸로 이끌며 생태계를 파괴한다면 이른 시일 안에 우리에게 더 큰 부메랑이 돼 돌아올 겁니다.
![자연재해 발생빈도 [비상학습백과]](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0/28/f1641678-7fb7-49a5-98d7-082f86e3fb69.jpg)
자연재해 발생빈도 [비상학습백과]
영화 ‘애프터 어스’에서 아빠가 아들에게 했던 말(Danger is real, but fear is choice)을 조금 변형해보면 현재의 환경오염과 기후변화는 현실이지만, 우리가 앞당기고 있는 멸종의 문제는 선택입니다. 남의 나라 대통령만 뭐라 욕할 게 아니라, 우리가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것부터 실천에 옮겨 보면 어떨까요. 아무렇지 않게 평소에 쓰는 일회용품과 쓰레기부터 줄여보는 것 말이죠.
#인간혁명은 매주 토요일 아침 업데이트 됩니다.
윤석만 기자 sam@joongang.co,kr

'슬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피,털모자, 거위털 점퍼에 들어가는 동물들이 어떻게 사육되고 어떻게 죽어가는 지를 알면 못입을껄? (0) | 2017.12.05 |
---|---|
이국종 교수 격정의 3시간 발언, 우리나라 '중증외상 의료체계'의 근본적인 검토가 있어야 할 듯... (0) | 2017.11.27 |
[스크랩] 보고도 믿기지 않는 바다 위 쓰레기 섬..플라스틱이 문제다 (0) | 2017.10.21 |
스위스에서 있었던 실화! 브레이크가 고장 난 버스 승객 수십명을 살려 낸 운전사, 그러나 승객들은 그를 살인자라고 쑤군대는데... (0) | 2017.10.17 |
현직인 자기보다 퇴임한 노무현이 더 인기가 많은 걸 시기질투하는 mb! 영결식 분향도, 김대중 전임대통령의 추도사도 못하게 하는 치졸한 인간! (0) | 2017.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