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슬픈 이야기

왜 청계천엔 병든 물고기들이 많을까? 30만마리의 다슬기들은 어디로 갔나?

by skyrider 2010. 5. 26.

30만 마리 다슬기 다 어디로 갔을까
썩어가는 '청계천 신화' 고발합니다
[청계천의 진실②] 염증 시달리는 물고기·녹조류 뒤엎은 바닥... 4대강의 미래다
10.05.26 08:50 ㅣ최종 업데이트 10.05.26 09:10 최병성 (cbs5012)

  
깨끗하다는 청계천에 사는 내게 왜 이 아픈 상처가 있는지 누가 설명 좀 해주세요.
ⓒ 최병성
청계천

 

27종에 이르는 물고기들이 한강에서 청계천의 깨끗한 물길을 따라 올라와 산다는 서울시의 주장은 사실일까요? 청계천엔 놀라운 일이 참 많습니다. 섬진강의 갈겨니가 청계천으로 날아와(?) 살고, 한강과 지천에도 없는 참갈겨니가 청계천에 있고, 조개가 없는데도 조개에 알을 낳는 납자루와 가시납지리와 각시붕어가 청계천에 산답니다.

 

단 한 마리의 물고기도 인위적으로 청계천에 푼 적이 없다는 서울시에 따르면, 참종개가 청계천의 맑은 물을 따라 올라와 지난 2008년에 처음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민물고기보존협회 홈페이지에는 2008년 종 복원 사업으로 참종개를 청계천에 5000마리나 풀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참종개가 청계천에 등장한 시기는 2008년으로 똑같은데, 물을 따라 올라왔다는 서울시와 5000마리나 풀었다는 민물고기보존협회의 주장이 서로 엇갈립니다. 

 

청계천 물고기들에겐 왜 상처와 염증이 많을까?

 

2007년 5월 10일, 서울시는 "청계천에 새 생명이 늘고 있는 이유는 깨끗한 물과 풍부한 먹이 등 서식환경이 안정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우선 2급수 이상의 깨끗한 물이 흐르면서 저서생물, 플랑크톤들이 많아지고 이를 먹고사는 어류들이 중랑천에서 거슬러왔다. 건강한 먹이사슬이 정착돼감을 확인할 수 있다"며 청계천의 서식환경이 안정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 온몸에 염증을 지닌 청계천 물고기들... 왜? 피라미는 온몸이 붉게 되었고, 붕어는 꼬리와 옆구리와 이마에 염증이 번지고 있습니다. 도대체 청계천에 무슨일이 있는 것일까요?
ⓒ 최병성
청계천

 

그런데 이상하게 청계천에 사는 물고기들 몸에는 상처와 염증이 많습니다. 몸이 뻘건 물고기부터 이마와 등, 꼬리지느러미에 상처로 썩어가는 물고기들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물고기가 청계천으로 거슬러 올라오다가 난 상처라고 해명했습니다. 서울시의 해명에 의하면 청계천 물고기들은 배영을 즐기는 특별한 물고기들인가요? 물을 거슬러 올라오며 발생한 상처라면 배 아래쪽에 상처가 있어야지, 왜 이마와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 염증이 난 걸까요? 한강에 살지 않는 물고기에다 배영을 즐기는 물고기라니, 청계천은 별종들의 집합소네요. 그야말로 세계 토픽감입니다.

 

  
이마에 상처가 난 잉어입니다. 누워서 수영했나요? 청계천 물고기들은 누워 거꾸로 기어오르는 별종들인가 봅니다.
ⓒ 최병성
청계천

  
▲ 꼬리와 아가미와 옆구리가 염증으로 썩어가는 물고기들.. 왜일까? 청계천엔 꼬리가 썩어가고, 아가미에 상처가 있고, 옆구리와 등에 염증이 있는 불쌍한 물고기들을 만나기 쉽습니다. 그냥 지나치지 마시고 한번 자세히 살펴보세요.
ⓒ 최병성
청계천

강가에 10년을 넘게 살면서 매일 강가를 거닐며 물고기들 바라보는 것이 제 낙이었습니다. 청계천보다 더 거센 물결이 흐르는 자연하천에서도 이런 상처나 염증을 가진 물고기를 본 적이 없습니다. 꼬리와 등지느러미가 염증으로 괴사되는 물고기들은 청계천 서식환경에 문제가 심각함을 보여줍니다.

 

30만 마리의 청계천 다슬기는 어디로 간 것일까요?

 

청계천 물고기 서식환경에 문제가 심각하다는 증거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2006년 10월 12일, 서울시는 경남 산청의 다슬기를 청계천에 30만 마리나 방류했다고 밝혔습니다. 다슬기는 물고기처럼 수영하는 녀석이 아니니 청계천 물길 따라 올라왔다고 못한 것이겠지요.

 

  
▲ 청계천에 30만 마리의 다슬기를 푸는 행사 서울시 청계천 홈페이지에 나오는 다슬기 방류행사입니다. 30만 마리를 청계천에 풀었다는데, 지금은 몇배로 더 증가하였을까요? 너무 많이 증가하여 아무리 찾아보려해도 보이지 않습니다. 30만 마리가 다 어디로 간 것일까요?
ⓒ 최병성
서울시

서울시는 다슬기가 하천 정화 생물이기에 앞으로 더 깨끗해진 청계천을 만나게 될 것이라며 다슬기를 방류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습니다. 

 

"하천내 바위나 자갈에 붙어 있는 조류(藻類)나 물고기의 배설물 등을 먹고 살며 일명 수중 청소부라 불리는 다슬기는 대표적인 하천정화 생물로서  참다슬기 30만 마리가 청계천에 새 보금자리를 마련하게 됐다. 금번 산청군에서 기증한 30만 마리의 참다슬기를 통해 수질 관리뿐 아니라 보다 깔끔한 하천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슬기가 반딧불이 유충의 주된 먹이기 때문에 향후 청계천에서 반딧불이를 만날 가능성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서울시가 30만 마리의 다슬기를 푼 지 벌써 4년이 되었습니다. 5.8km에 불과한 청계천에 30만 마리의 다슬기를 풀었다면, 지금 청계천 바닥은 다슬기로 가득해야 합니다. 그러나 수차례에 걸쳐 청계천을 뒤져봤지만 반딧불이를 볼 수 있을 거라는 서울시의 기대는 고사하고, 그 어디에서도 다슬기를 찾아 볼 수 없습니다. 서울시의 설명처럼 다슬기는 하천 바닥 청소부이기에 웬만한 오염은 견뎌내는 강한 생명입니다. 그런데 30만 마리나 되는 다슬기가 어디론가 다 사라졌습니다. 

 

  
▲ 하천 바닥의 청소부 다슬기 다슬기는 이렇게 하천 바닥을 기어다니면서 바닥에 쌓인 것을 먹어치우는 청소부입니다. 웬만해서는 죽지 않지요. 그런데 청계천 하천 청소와 수질 개선을 위해 넣은 30만 마리의 다슬기가 사라졌습니다. 왜? 왜? 왜? 그 이유가 정말 궁금합니다.
ⓒ 최병성
청계천

썩어가는 청계천은 생명이 살기 어려운 심각한 환경

 

왜일까요? 청계천의 심각한 환경은 하천 바닥을 살펴보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모래와 자갈이 있어야 할 하천 바닥은 녹조류가 두껍게 자라고 있습니다. 다슬기가 살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습니다. 비록 하천 바닥에 깔린 유기물을 먹는 다슬기지만, 이렇게 심각한 녹조 위에서는 다슬기가 숨쉬기도 힘들었던 거지요.

 

  
▲ 하천바닥을 덮고 있는 녹조류 저렇게 두덮게 하천바닥을 녹조류가 덮고 있는데, 어떻게 다슬기와 수서곤충들이 살 수 있을까요? 30만 마리가 사라진 이유가 충분합니다.
ⓒ 최병성
청계천

지금의 청계천은 썩어가는 시궁창처럼 녹조류가 심각합니다. 서울시가 조정식 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그동안 서울시가 청계천의 녹조 제거를 위해 많은 수고를 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68개소에 고정인력을 배치해 부유물을 제거하고, 2009년에 마사토를 두 번이나 투여했으며, 미생물제를 비롯해 조류 억제를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동원했습니다. 특히 2007년 3회, 2008년 8회, 2009년 7회 등 총 18번이나 전면적인 하천 바닥 청소를 실시했습니다. 녹조 제거만을 위해 투입된 예산만도 2007년 조류제거제 3600만 원, 2007~2009년 바닥청소를 위해 연인원 2147명이 투입됐고, 비용으로 4611만 원이 소요됐습니다. 이렇게 많은 인력과 예산을 투입했음에도 지금 청계천은 녹조가 가득한 썩은 하천입니다.

 

  
▲ 이게 바로 청계천입니다. 지난해 하천을 7번이나 쓸어냈다는데, 지금 청계천은 녹조로 가득해 썩어가고 있습니다. 마치 어는 도시의 썩은 하천 같아보입니다. 그러나 분명히 10일 전의 청계천입니다.
ⓒ 최병성
청계천

청계천 바닥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녹조 위에 하얀 진주 모양의 구슬들이 가득 깔려 있습니다. 누가 진주 보석을 깔아놓은 것일까요? 청계천에 이 많은 진주를 깔아놓느라 지난해 청계천 유지 관리비가 77억 원이나 든 것일까요?  

 

흰색의 이 구슬 방울은 녹조류가 광합성 작용에 의해 만들어 낸 산소 방울입니다. 녹조류가 산소를 만들어 내니 좋지 않나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적정 농도를 벗어난 과다한 산소는 수중 생물들에게 심각한 해가 됩니다. 특히 녹조류는 낮에는 산소를 만들어 내고 밤에는 산소를 먹어 낮과 밤의 산소 차이를 낳는데 그 차이가 크면 수중 생명에겐 치명적인 독이 됩니다.  

 

  
▲ 청계천 바닥을 수중 카메라로 살펴보니 진주 보석이 가득? 녹조가 만드는 산소 방울로 뒤덮인 청계천입니다. 수서곤충과 다슬기가 살 수 없는 현실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최병성
청계천

 

  
▲ 야~~ 저기 섬진강 갈겨니 봐라!!! 2009년10월31일 이명박 대통령이 청와대 참모들과 청계천 상류부터 하류까지 걸었다고 밝혔습니다. 언론들은 이 사진을 받아 대통령이 물고기를 가리키고 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이대통령의 손가락이 향한 물고기는 무엇이었을까요? 섬진강에서 청계천으로 이사 온 갈겨니가 아니었는지? 아니면 조개가 없으면 살 수 없는 납자루? 아니면 인위적으로 5000마리나 풀어놓은 참종개는 아니었을까요? 이제 물고기 사다 넣었다고 솔직해집시다. 다 아는 사실인데....아니면 청계천의 더러운 녹조를 지적하고 계신 것은 아닌지.
ⓒ 청와대
청계천

지금 청계천은 그 어떤 생명이 깃들기 힘들 정도로 녹조류가 하천 바닥을 덮고 있습니다. 이렇게 썩어가고 있으니, 하천 바닥에 살며 하천의 건강성을 유지해 주는 수서곤충들을 찾기 어렵습니다. 수서곤충이 없으니 이를 먹고 사는 물고기들도 굶어 병들고 죽어가는 것입니다.

 

물고기들은 수서곤충뿐만 아니라 부착조류를 먹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청계천에 부착조류가 많으니 물고기들이 좋은 것 아니냐고요? 서울환경운동연합이 원두희 박사와 함께 청계천을 조사한 '생태적 측면의 청계천 3년 평가'라는 자료에 따르면 "청계천의 부착조류는 출현 종수가 적고 하류부에서는 오염지표종이 출현하여 악화된 수질 상태를 반영. 서식지가 단순하여 부착조류를 비롯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부양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원두희 박사는 본 보고서에서 열악한 부착조류만이 아니라 수서곤충의 경우도 수가 적고 종류가 다양하지 못하며 파리류 등의 오염종이 주를 이루고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 청계천 녹조는 오염지표종으로 수질 오염 상태... 원두희 박사는 지금 청계천 녹조는 오염지표종 출현으로 악화된 수질임을 지적하였습니다. 청계천의 물이 맑아 물고기 서식 환경에 좋다는 서울시의 주장은 국민을 속이는 거짓말에 불과합니다.
ⓒ 원두희
청계천

청계천은 물고기들의 시한부 사형장

 

지난 17일 국내 민물고기 전문가인 김익수 교수님과 함께 청계천을 조사하면서 청계천 하천 바닥을 파보았습니다. 뭉클거리는 하천 바닥은 손이 파묻힐 정도로 녹조류가 심각했고 수차례 바닥을 파보았지만 수서곤충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수서곤충이 살 수 없으니 당연히 다슬기도 살 수 없습니다. 수서곤충과 다슬기가 살 수 없는 청계천은 물고기 역시 살기 어렵습니다. 김익수 교수님은 청계천의 물고기들이 상처와 염증이 심각한 이유는 먹을 것 부족으로 영양실조에 의한 면역성 결핍 때문이라고 진단했습니다. 김익수 교수님은 돌고기와 참갈겨니를 잡아서 살펴보더니 지금이 산란철인데 정자와 알이 부족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먹을 것이 부족하고 서식환경이 나쁘니 당연한 것입니다. 

 

  
▲ 산란철임에도 정자와 알이 부족한 청계천 물고기 김익수 교수님이 청계천 물고기를 조사해보니 산란철임에도 불구하고 정자와 알이 부족한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 최병성
청계천

현실이 이러한데도 서울시는 청계천의 건강한 먹이 사슬이 정착되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지자체장의 성과를 과장하기 위해 진실을 속이고 있는 것입니다. 하천 바닥이 썩어가고, 그 결과 하천의 건강 지표인 수서곤충이 없고, 30만 마리의 다슬기가 사라지고, 물고기들은 염증과 상처로 고통 받는 청계천이 건강하다니요?

 

한나라당 의원들이 말하는 '청계천의 신화'란 바로 이렇게 물고기들의 시한부 사형장입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국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청계천이 성공(?)한 것처럼 4대강을 강행한답니다. 청계천의 거짓과 썩은 녹색이 가득하듯, 4대강의 썩은 녹색 미래가 두렵습니다. 

 

  
▲ 나는 청계천의 녹조가 4대강으로 이사갈까 두렵습니다. 4대강 죽이기 덕에 하루가 다르게 죽음의 강으로 변해가는 4대강... 아름다운 4대강이 한나라당이 좋아하는 청계천의 녹조처럼 되지 않을지 참으로 두렵고 또 두렵습니다. 나는 국민을 속인 청계천의 거짓 신화가 정말 두렵습니다. 4대강 제발 그냥 놔두세요....
ⓒ 최병성
청계천

덧붙이는 글 | 청계천에 섬진강의 갈겨니가 있다니... 청계천은 국민을 속이는 거짓으로 가득합니다. 4대강 사업 역시 거짓말로 가득합니다. 그 어디에도 진실이 없습니다. 4대강사업의 거짓에 대해 '강은 살아있다'(황소걸음 출판사. 최병성 저)에 상세히 밝혔습니다. '강은 살아있다 ' 꼭 읽고, 이웃에게도 전해주세요. 4대강을 살리는 일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