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rameBorder=0 width=250 allowTransparency name=google_ads_iframe_/7903310/Article_A1_0 marginWidth=0 scrolling=no>
나라가 온통 어수선합니다. “나라꼴이…”로 시작하는 우스개가 골골샅샅 넘실댑니다. 무릇 나라의 품격은 언론의 품격과 이어집니다. 이형을 비롯해 언론 현장을 지며리 지켜가는 언론인들에게 미안합니다만, 오늘의 나라꼴과 언론꼴은 누가 먼저일까를 다툴 정도로 일그러져 있습니다.

국가정보기관들의 대선 개입이 별 일 아니라고 언구럭부리는 조선일보 김대중 고문을 비롯한 윤똑똑이 언론인들의 글을 읽다보면, 솔직히 그들의 이성이 의심스럽습니다. 과연 그들을 ‘저널리스트’로 부를 수 있을까 회의마저 듭니다.

이형. 2012년 12월19일 대선을 앞뒤로 조선일보 보도를 톺아보면, 역설이지만 어수선한 상황이 말끔히 정리됩니다.
   
▲ 작년 대선 직후 나온 12월 20일자 조선일보.
 

선거직후 이 신문은 ‘전문가 분석’을 통해 ‘5060의 불안’이 승패를 갈랐다며 “근거 없는 국정원 공격이 역풍 불러” 제목아래 다음과 같이 보도했습니다. “선거 막판 민주당이 제기한 국정원 여직원의 불법선거운동 논란은 5060의 불안감을 증폭시켰다. 윤평중 한신대 교수는 ‘국정을 운영해본 민주당이 확실한 근거도 없이 여직원을 감금하고 국정원·경찰 등 국가기관을 공격한 것이 굉장한 역풍을 불러왔다’고 말했다.”

신문은 또 ‘3개월치 대선 트위터 분석’ 기사에서 트위터를 비롯한 SNS(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2030 이하 세대에게 친근하고, ‘친야’ 성향이 뚜렷한 것으로 평가돼왔지만, 18대 대선 기간 SNS에서 벌어진 박근혜―문재인의 양자 대결은 “일반적 예측을 벗어났다”고 보도했습니다. 박근혜 후보는 ‘박정희의 딸’이라는 사실을 긍정적 이미지와 적극 연결시켜 ‘후광 효과’를 누린 반면, 문재인 후보 진영은 ‘노무현 정부 실정에 대한 공동책임’ 같은 부정적 이미지에 휩싸이면서 최종 승부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고 분석했지요.

박근혜와 박정희를 동시에 언급한 트윗도 긍정적 내용이 267건에 3만8603회 리트윗을 기록하면서 62.6%였는데, 문재인-노무현을 동시 언급한 트윗에서는 부정적 내용이 90.1%를 기록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분석 자료를 낸 전문기관 담당자의 말을 인용해 ‘노무현-김정일 대화록 책임’ ‘NLL(북방한계선) 포기’ ‘실패한 참여정부 2인자’ 같은 부정적 이슈를 적극 확산시킨 것이 주효했다고 강조했습니다. 바로 국정원이 개입한 이슈들입니다.

압권은 “막판 트위터 점유율, 박 52.3% 문 47.7%… 실제 득표율과 비슷/ 선거 트윗, 총선 때의 3배 육박” 제하의 기사입니다. 12월 마지막 18일간 점유율이 대선 최종 득표율인 박 후보 51.6%, 문 후보 48.0%에 ‘놀라울 정도로 근접한 수치’라고 분석했지요.
   
▲ 작년 대선 직후 나온 12월 20일자 조선일보.
 

어떤가요. 제가 조선일보를 샅샅이 되짚은 이유는 그렇게 분석한 신문이 정작 ‘근거없는 국정원 공격의 역풍’에 근거가 뚜렷하게 나타났고, 트윗에 국정원이 대대적으로 개입한 사실이 드러났는데도 생뚱맞은 보도와 논평을 쏟아내고 있어서입니다.

대선 투표일 바로 직전에 조선일보는 이회창 인터뷰 기사에서 ‘병풍사건’을 새삼 부각한 뒤 이씨가 “민주당이 제기한 ‘국정원 여직원 댓글 조작 의혹’과 SNS상의 각종 흑색선전”을 “참으로 어이없고 기가 찰 노릇”이라 말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형. 참으로 어이없고 기가 찰 노릇 아닌가요. 알다시피 박근혜-문재인 마지막 TV 토론이 끝난 한밤중에 경찰청은 기습적으로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명백한 진실 호도였지요. 정반대의 수사결과가 발표된 날, 박근혜 후보는 수도권 유세에 집중하며 “경찰이 국정원 여직원의 댓글 의혹 사건에 혐의 없음이라고 발표했다”면서 “증거 하나 내놓지 못하면서 국정원 못 믿겠다, 경찰도 못 믿겠다, 선관위도 못 믿겠다고 하면 도대체 누구를 믿는단 말이냐”고 공격했지요. “이런 구태 정치를 여러분의 투표로 끝내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이형. 민주공화국의 국민인 우리는 정말이지 누구를 믿는단 말입니까? 조선일보는 투표일 하루 전날, 마지막 ‘확인 사살’에 나서지요. “야, ‘국정원 댓글’ 증거 없으면 깨끗이 사과하라”는 제하의 사설에서 문재인 후보를 비아냥거리며 사과를 요구했습니다.

모든 편견을 버리고 짚어봅시다. 조선일보의 대선 분석 보도와 주장을 뒤엎는 사실들이 두루 확인된 지금, 이 신문은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독자들 앞에 ‘깨끗이 사과’해야 마땅할 섟에 모르쇠이거나 ‘종북 딱지놀음’에 한창입니다. 과연 이 신문이 언론일까요? 짐작했듯이 조선일보만이 아닙니다. 중앙일보, 동아일보도 그 밥에 그 나물이었지요. 저들의 종편 방송은 한 술 더 떴고요.

소나무의 참모습은 한겨울에 드러난다고 했던가요. 실제로 겨울은 숲에 가려있던 산의 뼈대를 한눈에 보여줍니다. 한겨울의 공화국에서 우리는 나라꼴을, 언론꼴을 또렷이 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가요. 국민꼴은.
바로 그래서입니다. 주권이 국민에게 있음을 천명한 헌법 제1조를 우리가 변기통에 던지지 않았다면, 이제 곰곰 성찰할 때입니다. 부정선거 의혹의 진상규명은커녕 진상은폐에 눈 빨간 저들에게 우리 무엇을 해야 옳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