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ero Dynamics : 공기에 대한 상대적 운동에 의하여 물체를 중심으로 변화하는 힘에 관한 학문 ● Air Current : 수직적 성분을 가진 공기의 흐름 ● Air Speed : 날개와 공기와의 상관속도로서 속도계를 통해 나타나는 속도 ● Air Speed meter : 날개의 속도를 나타내는 계기 ● Airfoil : 공기 속을 뚫고 움직일 때 양력을 발생시키는 날개의 단면 형태 ● Altimeter : 현재의 고도를 나타내는 계기 ● Angle of Attack : 날개의 중심선에 대한 상대풍의 입사각 ● Aspect Ratio : 날개의 스팬(Span)과 코드의 비율 ● Attitude : 수평을 기준으로 노즈가 올라가고 내려간 양
● Bank Angle : 롤링에 의해 날개가 수평으로 기울어진 경사각 ● Best Glide Speed : 최대 활공 속도. 최대 활공비가 나타나는 속도
● Cell : 개개의 공기방 ● Chord line : 날개의 앞전과 뒷전을 이은 직선 ● Collapse : 캐노피 내부의 공기압력이 떨어져 날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접히는 현상 ● Cumulus : 서멀에 의해 발생되는 뭉게구름
● Dive : 작은 받음각으로 빠른 속도를 내면서 강하하는 것 ● Drag : 날개가 전진함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 Glide Angle : 수평선과 활공 경로가 이루는 각 ● Glide Ratio : 활공기의 침하 고도에 대한 전진 거리의 비율 ● Glider : 무동력 항공기 ● Gliding :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날아가는 무동력 비행 ● Ground handling : 지상에서의 패러글라이더 취급법 ● Ground Speed : 날개 지면과의 상관속도로서 바람이 있을 경우 대기속도와 다르게 나타남 ● Gust : 불규칙하고 불연속적인 바람
● Harness : 조종사의 좌석
● L/D(Lift/Drag Ratio) : 양항비, 활공비, 양력대 항력의 비율로서 활공기의 기본적 활공성능 ● Leading Edge : 날개의 앞부분 ● Lift : 공기역학에 의해 날개가 공중에 뜨도록 하는 힘 ● Log Book : 비행일지
● Min. Sink Speed : 최소 침하 속도
● Nose : 앞전의 가운데 부분
● Relative Wind : 날개가 전진함에 따른 상대적인 바람 ● Rescue Parachute : 비상 상황 시 안전하게 하강하기 위한 비상장비 ● Right of Way : 공중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수립된 비행 진로 우선권 ● Riser : 각 산줄들을 묶어 Harness에 연결해주는 것 ● Rolling : 종축을 중심으로 한 날개의 옆 놀이 운동 ● Rotor : 소용돌이 형태의 난류
● Seperator : Canopy의 윗면과 밑면을 연결하여 공기방을 이루는 수직막 ● Sink Rate : 단위 시간당 수직 속도 ● Soaring : 상승기류를 이용하여 체공하거나 고도를 획득하는 비행 ● Span : 비행기의 한쪽 날개 끝에서 다른 쪽의 날개 끝까지의 길이 ● Spin : 나선형 강하 ● Spot landing : 착륙 목표 지점 ● Stability : 균형이 깨졌을 때 수평 직성 비행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경향 ● Stablizer : Cnopy의 좌우 끝 부분에 있는 수직 구조 ● Stall : 최소 속도 이하가 되어 양력이 감소되어 저항이 증가하고, 스피드를 상실하여 날개의 기능을 상실하는 일시적인 현상 ● Stall Speed : 실속이 발생하는 임계 속도 ● Stratus : 넓게 퍼진 형태의 구름 ● Suspension Line : Canopy에 연결된 여러 가닥의 선
● Tail WInd : 뒷바람 ● Tailing Edge : 날개의 뒷부분 ● Thermal : 상승력을 가진 따뜻한 공기 덩어리 ● Turbulence : 공기를 비롯한 유체의 불규칙한 움직임
● Under Surface : 날개의 아래 부분 ● Upper Surface : 날개의 윗 부분
● Vario meter : 날개의 상승 및 하강 시 그 시간당 비율을 알려줌
● W/L(Wing Loading Ratio) : 조종사와 기체 무게를 날개면적으로 나눈 수치 ● Wind Gradient : 고도에 따라 풍속이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 ● Windsock : 이륙장이나 착륙장의 바람 방향을 관찰하기 위해 설치하는 바람주머니 ● Wing-tip : 날개 끝 ● Wing-tip Vortex : 날개 끝에서 발생하여 날개 윗 부분으로 흐르는 소용돌이 흐름
● Yawing : 수칙 축을 중심으로 한 날개의 수평 회전 운동
|
패러글라이딩 용어모음2 |
|
|
|
| |
aerobatc:곡예비행
aerodynamics:항공역학,공기역학
aeronautics:항공학
air-brake:이륙중지 및 착륙시에 플레어,코오드를 당겨서 기체의 속도를 줄이는 것- 공기제동
air-chushion:착륙시 공기저항을 효율적으로 이용해서 가볍게 착지하는 플레어 조작-공기완충
air-intake:공기흡입구, 캐노피 앞전 공기 흡입구, nose라고도 한다
airspeed:대기속도
alti-vario meter:고도계와 승강계가 하나로된 복합계기
altimeter:고도계
anti-backflow valve:에어인 테이크에 장비되는 공기역류 방지 밸브
arbent thermique: 숲속에있는 공기가 낮동안 데워졌다가 오후 늦게 외기 온도가 내려갈 즈음 상승하기 시작하는 열상승기류
area:비행가능구역(비행공역)
aspect ratio:날개의 종횡비=.......................
attack angle:날개의 받음각
attack point:파이날 어프로치(최종접근)의 최종 선회지점 여기서 목표에 직선으로 강하 비행한다.
backward falling:긴급착륙시의 뒤구르기 낙법
bank:선회시 날개의 경사도, 뱅크각이 클수록 급선회가 된다
base leg:최종접근 직전의 옆바람 비행구간
below priority:아래쪽은 비행중의 조종자에게 우선권이 있는 비행규칙(하측우선의 원칙)
bernouillis theorem:유체 흐름에서 등압과 정압의 합계는 일정하며 전압과 같다.
big flight:고고도 비행, 일반적으로 200-300m이상의 고도차가 있는 이륙지점으로부터의 비행을 말한다.
blocked front:폐쇠전선 하나의 기단이 두개의 보다 한냉한 기단 사이에 끼어서 들어 올려지다가 3-4일 사이에 소멸된다.
bowl:깊게 파인 골자기 부분 골바람이 이 보울에 집중해서 강력한 상승 기류를 만드는 수가 있다
buckle:하네스의 양다리나 가슴부분에 있는 조임쇠
canopy:파라글라이더의 날개 부분
car towing:자동차로 견인하는 것
case:에어인테이크를 정면에서 본 하나하나의 구멍, 이 캐이스가 2-4개 합쳐서 하나의
리임을 구성한다.
case partition:하나하나의 구멍을 칸막고 잇는 캐노피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천
ceiling:운저고도, 구름높이
centrifugal force:원심력
centripetal:구심력
chord:날개시위, 파라글라이더에서는 앞전과 뒷전을 연결한 직선
classic class:기체의 활공비가 작은 크라스의 경기
close:비행구역이 폐쇄되는 것, 악천후, 사고등으로 비행을 금지하는것, 대회의 종료도 클로오즈라고 한다.
closed intake:앞전을 공기 저항이 적은 형태로 하기 위해 닫혀진 에어인테이크, 멧슈, 크로오즈 타입과 중앙의 3-5 리임만을 열고 나머지 좌우의 에어인테이크를 닫은 싸이드.크로오즈 타입으로 대분된다.
cold front:한냉전선
냉기가 난기를 들어 올리면서 전짐하는 전선, 진행 속도는 시속 40-90 km로 빠른 편이며 특징은 적운이 나타나고 국지적인 뇌우 우박 진눈개비 소나기 비바람등 집중적인 일기 상황으로 수시간내에 급속히 회복된다. 비행에 부적당하다
cold air mass: 한기단
competition:경기대회, 대회내용 즉 타스크(경기종목)는 듀레이션(체공시간), 셋트.타임(정시간) 타겟트(착륙정도) 파일론(표지) 크리야(아우트 앤드 리턴) 3각 파일런, 크로스 칸츄리(지정점 착륙) 프리크로스컨츄리(장거리 비행)를 겨루는 것이 있고 그날의 날씨와 비행 구역 조건에 따라서 저적히 조정한다.
counter flare:원활한 선회를 하기 위해서 선회외측의 플레어 코오드를 선회 움직임에 맞추어서 당겼다, 놓아다 하는것, 날개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역조작
crab flight:게의 옆걸음 비행, 특히 릿지 소아링때 사용, 편류 수정 비행이라고도 한다.
crash:추락
cross country:국토횡단비행, 장거리 비행을 말한다
cross deployment:맞바람이 강할때 효과적인 캐노피 라이즈 업 기술, 지면에 펼친 캐노피를 정대해서 팔을 교차해서 라이즈 업한 뒤 팔의 교차를 풀고 바람을 향해 전방으로 돌아서서 이륙달리기를 한다.
cruising position:날개가 안정 비행 태세에 있는 것
cumulonimlus:적란운, 비행에는 위험한 대기 상태
cumulostratus:층적운
cumulous:적운 특히 한냉전선이 통과할 때 나타남
curl:바람이 장애물(산정상 부분) 뒤쪽에서 와류 상태가 되는 것
deflector(디프렉터)
dolphin through:국지적인 상승 풍속을 직선 비행으로 통과하는 것
double cutin ride:열상승풍을 타는 공격적 비행방법 상승풍을 만나면 타이트 앤드 루스 선회를 시도한다.
down wind leg:뒷바람을 타고 목표를 옆으로 보면서 최종 접근과 평행으로 비행하여 베이스 레그로 들어간다.
drag:항력
drift flight:편류비행
dump:캐노피가 찌브러지는 것, 특히 에어인 테이크의 찌브러짐
dumping:캐노피가 찌브러져서 낙하하는 것
duration:체공시간
emergency parachute:비상탈출용 파라슈트
event flight:행사비행
eventail gonflage:캐노피를 아코디온 식으로 접은 상태에서 중앙의 에어인 테이크만 열고 공작새가 날개를 피듯이 라이즈 업하는 기술
failed start:이륙 실패
final approach:최종 접근
first man priority:선행자 우선
flap(플랩):펄럭거림
flare:항공기가 착지 전에 기수를 들고 감속 활공하는 것, 파라글라이더에서는 플레어 코오드나 리어 라이자를 당겨서 착륙 상태에 들어가는 것을 말함
flare code: brake code(브레이크 코오드)라고도 말하며 파라글라이더를 조종하는 가장 기본적인 것, 이 코오드를 당김으로서 좌우 날개를 조작한다.
flare trim: 주로 리어 라이자를 당겨서 날개의 받음각을 변경하여 선회나 감속을 쉽게 원활히 하기 위한 장치
flat:바람이 전혀 없는 상태
flight:비행
flight area:비행구역
flight log book:비행일지
flight plan:비행계획, 이륙전에 바람 상태, 지형을 충분히 고려해서 비행 경로를 짜는 것, 특히 산악 비행에서는 장비나 비행 중지시의 하산방법까지 포함된다.
flyeris registration card:비행자 등록증
foward falling:앞구르기 낙법
free cross country:보통의 크로스 컨츄리는 착륙지점이 지정되지만 이것은 무제한 장거리 비행을 뜻한다.
free flight:지정된 공역내에서 조종자 자신의 책임과 판단하여 자유롭게 비행하는 것
front riser:
full flare: 프레어 코오드를 최대한(허리보다 밑으로) 당기는 것, 착지 직전 또는 이륙중간시 사용한다.
full release:플레어 코오드를 전혀 당기지 않은 상태, 별명 『만세』, 최대 활공 속도를 얻을 수 있다.
gear:이륙달리기, 상승풍에서 이탈시에 사용 gear(rldk) 파라글라이더의 기체나 하네스, 핼멧 등을 지칭한다. 파라글라이더용 장비를 뜻함
getting out:상승풍 바깥으로 이탈하는 것
glider:활공기
gliding ratio:활공비:활공각 이라고도 한다.
go for it:상승풍에 과감히 도전하는 것
ground handling:지상에서의 기체 취급, 평지 연습을 뜻하는 수도 있다.
ground speed:대지 속도
half flare:플레어 코오드를 어깨에서 가슴 위치까지 당기는 동작, 이륙시 플랩으로 또는 공중에서의 일시적 감속이나 착륙시의 고도처리 기술로 사용된다.
harness:캐노피에 연결된 라인으로 몸의 중량을 지탱하기 위해서 몸에 장착하는 멜방 장비
heading:파라글라이더의 로즈가 향한 방향, 기수 방향
head on:파라글라이더끼리 서로 정대해서 오는 것, 이때는 서로 진행 방향의 우측으로 피한다.
head wind:맞바람
height dealing:고도처리
high:고기압
hollow:상승풍과 상승풍 사이의 침하풍이나 무풍 지대를 말함
hot dog:급격한 나선 강하
inside:착륙지점의 내측(가운데)에 무사히 착륙하는 것
internal breething holes:캐노피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케이스의 경계면) 천에 뚫은 몇개의 구멍, 캐노피 내의 공기는 이 구멍을 통해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한다. 이 숨통 굼멍으로 캐너피의 찌부러짐이 해소된다.
karabiner: snap ring(스냅링)이라고도 한다. 파라글라이더에서는 라이자와 하네스를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잠금 장치가 있는 것이 좋다.
landing zone:착륙지역
launching: towing(토잉)이라고도 함
leading edge 앞전 attack edge 또는 nose라고도 부른다 캐노피의 에어인 테이크가 있는 앞전을 말한다.
leaning turn:body control이라고도 부르며 체중이동으로 날개를 조작한 선회
lee wave:산악파
left priority:착륙시 같은 고도로 동시 진입할 경우 좌측 조종자에게 진로 우선권이 있다는 것
lift:상승풍의 양력
loose:선회 중에 선회 내측의 플레아 코오드를 늧추거나 리딩 턴중에 기울인 상체를 세워서 선회를 늦추는 것
low:저기압
lower surface:캐노피의 하면 라인이 여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셋트업시에는 이면이 위로 오도록 지면에 편다.
man power towing:인력적인 토우잉
mash closed intake:에어인 테이크 전면에 발생하는 공기 저항이나 와류를 최소한 하고 일단 날개 속에 들어간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에어인 테이크를 망사로 막은 것
motor paraglider:조종자가 대형 선풍기 모양의 프로펠라를 등에 지고 동력 비행이 가능한 파라글라이더
mountain downwind:산바람, 산에서는 아침이나 저녁에 산에서 찬공기가 평지로 내려 부는데 산악 비행시는 이 산바람이 끝나고 반대로 상승풍을 수반하는 골바람을 기다리는 것이 중요하다.
neutral:중립플레어 코오드를 풀릴리스 위치로부터 날개가 최대 활공비가 얻어지도록 약간 당긴 상태, 보통 풀릴리스에서 플레어 코오드를 주먹 하나나 둘 감아쥔 위치(귀까지 당긴 위치)가 된다.
nimbus:비구름
nose riding:강풍으로 기체가 뒤로 밀려가거나 전혀 앞으로 나갈 수 없을때 프론트 라이저를 조금씩 당겨서 마이나스의 핏치 컨트롤을 하여 가속 전진하는 것
offshore wind:육풍(뭍바람) 저녁부터 아침에 걸쳐 뭍에서 바다쪽으로 부는 바람
one eighty:180도 선회
on shore wind:해풍(바다바람) 낮에 바다에서 뭍쪽으로 부는 바람, 해안선에서 소아링 하기에 적합함
open area:개방 지역 자유로히 비행할 수 있는 지역
open class:경기대회에서 기체의 활공비에 관계없이 겨눌 수 있는 것
operator::런칭시 지상에서 조작하는 운전자
out & return:3각 파일런, 세점에 설치된 파일런을 도는 경기 종목
outside:착륙지점 밖으로 착륙하는 것
overcast:흐림
over countrol:과조작(과조종)
over taking:앞지름
parafoil:최초로 나사에서 우주선 회수용으로 발명한 델타형의 램압 파라슈트를 파라포일이라고 함. 파라글라이더의 캐노피부의 정식 명칭임
paragliding:파라글라이더로 활공하는 것
paraglider(parapente):파라글라이더/파라펜트:활공하는 파라슈트
parapinist:등산기술의 하나로 파라글라이더를 이용한 등산가
peak:릿지웨이브(상승풍을 얻지 못하며 그 하류에 들어가면 하강류나 난기류에 들어가므로 주의해야 한다.
penetration:전진력, 일반적으로 강한 맞바람에 대한 날개의 전진력을 말함. 페네트레이션이 좋은 날개란 강한 바람에 정대해도 전진하는 날개로서 대기속도(순항 속도)가 빠르다.
pilotage:공중에서의 모든 비행술
pitch control:날개의 받음각을 리어라이자를 조작해서 변화시키는 것
propeller 360 o :지상의 도일 지점 상공에서 같은 뱅크각을 유지하고 될 수 있는 한 많은 360도 선회를 하는 것
pylon slalomm:파일런, 회전 경기
ram air:공기압
rapide ring:리깅 라인과 라이자 또는 라이자와 하네스를 연결하는 강력한 금속고리
ream:캐노피의 에어포일을 구성하는 연(連) 한 연은 2-4 케이스(구멍)으로 되어 있고 파라글라이더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되며, 조종자의 체중에 따라 보통 7,8,9 연(連) 등이 있다.
rear riser:날개 후반부로부터 내려진 리깅 라인을 모은 벨트로서 카라비나로 하네스와 연결한다.
reverse pulley towing:활차를 사용해서 조종자와 정대해서 인력으로 견인하는 것
ridge lift;언덕이나 산의 사면을 따라 불어 올려지는 상승풍
ridge soaring:사면 상승풍
rigging lines:캐노피와 하네스(라이자)를 연결하는 수 10 개의 줄
rightside avoid:비행중에 우측회피의 원칙, 공중에서는 서로 우측으로 회피하는 것이 원칙이다.
rigid wing:고정날개(비행기나 행글라이더) 이에 반해서 파라글라이다는 soft wing(유연날개)이라고 한다.
rise up:캐노피에 바람을 넣어서 일으키는 동작 『일으켜 올림』 또는 세워 올림이라고 함.
rotar:산의 바람 하류쪽 사면이나 리 웨이브의 아래쪽에 생기는 커다란 새로 소용돌이
safety check:안전점검
sellette(세렛테) sitting harness(싯팅 하네스)라고도 한다.매달리는 심플 하네스에 비해 장거리 비행에 적합하고 각 종 조작이 유리하다.
set time:경기대회의 과제의 하나로서 정해진 시간에 정확히 비행을 끝내는 것
setting(셋팅) deployment(디프로이먼트)라고도 함, 이륙전에 캐노피를 지면에 전개해서 라인을 정리하고 라이자와 하네스를 연결한다.
side wind:옆바람(측풍)
sideward falling:옆구르기 낙법
simple harness:매어 달리는 형의(파라슈트형의) 하네스
simulation:모의비행
sink:하강기류
slalom(스라롬): aeroslalom(에어로스라룸)이라고도 한다. 스키에서 하는 슬라롬(회전활강)과 같다. 지면에 설치한 파일런(pylon)을 지나면서 비행하는 것
slopeside priority:산쪽 우선의 비행 원칙
soaring:비상, 상승기류를 타고 수평비행 또는 상승 비행을 하는 것, 릿지 소아링, 서멀 소아링, 리웨이브 소아링 등이 있다.
span:좌우 날개 끝 사이의 길이, 날개폭
speedmeter: 속도계
spiral:나선급선회(연속 360도 선회)
spot landing:특정의 좁은 지점에 착륙하는 것
square ram-air parachute(스퀘어 램 에어 파라슈트) parafoil(파라포일)의 별명
stabilizer:날개의 양끝에 있어서 비행 방향을 안정시키는 수직 날개
stable air:안정된 대기
stall out:실속시키는 것
stationary front:정체전선
stratus:층운, 온난 전선이 접근할때 볼 수 이다. 대기는 안정되고 있음
tail edge:날개(캐노피)의 뒷전
tail wind:뒷바람
take off:이륙
take off point:이륙지점
tandem:2인승 파라글라이더
tapered wing:테이퍼 날개
target:착륙 목표 지점
task:경기대회에서 선수들에게 주어지는 과제, 또는 경기 종목 및 경기 내용
thermal: 상승 온난 기포, 텔미크
thermal base:서멀의 저변부
thermal blow:열 상승풍 발생에 수반해서 단속적으로 생기는 바람
thermal cap:서멀의 정상부
thermal centering(써멀 센터링): thermal cicling(서멀 서클링)이라고도 한다. 써멀을 타기 위해서는 서멀 코아(상승 기류의 핵)을 중심축으로 360도 선회를 계속하면서 비행해야 하는데 이것을 센타링 또는 써클링이라고 한다.
thermal core:써멀의 핵 서멀의 중심축에 있으며 가장 상승 기류가 강하다.
thermal cumulus: 서멀의 정점에 충분한 습도가 있으때 서멀 구름이라고 하는 적운이 나타난다. 조종자는 이 서멀 구름이 성장 중에 있는 것을 찾아 가면 서멀을 탈 수 있다
thermal cut in ride:서멀 센터링의 기술
thermal hit:서멀에 돌입하는 것
thermal out:서멀에서 벗어남 또는 탈출하는 것
thermal ring:서멀환(環) 서멀은 보통 기류가 링(도낫트)형의 움직임을 하면서 성장한다.
thermal search:서멀 탐색, 서말 구름을 발견하거나 서말을 발생하는 지지 조건을 찾는 것부터 시작해서 실재로 직선 비행을 하면서 탐색하는 것
thermal soaring
thermal street:서멀 통로
three sixty:360도 선회
tight:선회 반경을 조이는 것, 완선회에서 급선회로 들어가는 것
tight & loose circling:서멀 센터링에서 선회를 늧추었다 조였다하면서 보다 강한 서말 코아로 선회 이동 하는 것
time lag:시간 지연(시차)
여기서는 계기의 표시와 실재 기체 움직임 사이의 시간차를 말함
touch down:안전 착륙
trekking:천천히 걷는 것, 파라글라이더에서는 천천히 공중 유영을 하는 것
trimmimg:비행의 조정 조작 전반을 뜻함, 특히 바람의 흐름에 대한 날개의 받음각 조작 등
turbulence: 난류
uncontrol:조종자가 적절한 조종을 하지 않는 것, 또는 조종불능 상황
unstable air:불안정한 대기
upper surface:캐노피(날개) 상면
valley upward wind:골바람
vario meter:고도승강측정기
velco:매직테이프 특히 리어라이자부와 플레어 코오드링을 접착하는데 사용된다.
visitor:다른 단체나 클럽이 관리하는 공역에 들어가서 비행하고 있는 사람
waiting:비행 공역의 바람이 호전되기를 기다리는 것
warm air mass:난기
warm front:온난전선
weight:날개하중(부하) 날개에 걸리는 전중량
wild flight:산악비행, 산악에 관한 충분한 지식과 경험 및 숙련된 기술이 요구된다.
winch towing:
wind check:풍향, 풍속 점검
wind gradient: 바람의 경사
wind shadow:바람 그늘, 바람 하류쪽의 산사면이나 골사이의 바람을 영향 받지 않고 조용한 곳
wind shadow thermal:윈드 세도우에 있는 공기가 태양 광선으로 순조롭게 데워져서 발생한 서멀
wipe out:강풍으로 날리는 것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