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우선 등업 해 드렸구요.
풋바에 대해서 물어보셨는데 기본적으로 풋바는 속도를 내기 위한 수단입니다.
그러니 당연히 뒤로 밀릴때는 밟아야 하겠지요.
요즘 상급 기종등 기체들은 20 프로 정도 풋바를 밟으면 활공비가 더 좋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보다 더 밟아버리면 반대로 속도는 빨라지나 활공비는 밟을수록 점점 줄어듭니다.
그런데 질문의 요지는
아래에 언급한 풋바를 밟았는데 활공비가 더 좋아진다는 이야기는 무슨 이야기냐.. 하는 질문인거 같습니다.
하늘에는 크게 나누어서 세가지의 기류가 있습니다.
올라가는(상승) 기류
상하 움직임이 없는 기류
내려가는(하강) 기류
올라가는 기류를 만나면 우리는 써클링을 하여 고도를 올립니다.
기체는 가만히 있으면 추락(실속에 걸려)합니다. 어디로는 움직여야 기체가 형상를 갖추는데 제자리에 가만히 있을수가
없으니 빙글빙글 돌면서 그 써멀안에 최대한 머물려고 하는게 써클링이지요.
최대한 그 지역을 천천히 지나가며 고도를 올리는 방법에 일부인 것입니다.
반대로 하강이 큰 기류를 만나면 가만히 있거나 써클링을 하거나 하면 계속 아래로 떨어지겠지요.
우리가 흔히 귀를 접어서 하강을 많이 하는데 고도가 좋은 지역에서는 그보다는 하강지역에서 천천히 써클링을 하는것이
훨씬 빨리 고도를 내리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말이 조금 빗나갔는데.. 다시..
고도가 초당 4 미터의 씽크지역을 만났다고 칩시다. 이 지역을 풋바를 사용 안하고 30 초 만에 빠져 나갔다면 120 미터를
고도를 까먹고 갔을겁니다. 다른 방법으로 풋바를 사용해서 속도를 높여서 15 초 만에 빠져 나갔다면 60 미터만 손해를 보고
빠져 나갑니다. 그러나 풋바를 밟았으므로 거기에 따르는 대기 활공비도 다소 떨어지므로 10 미터 정도 손해를 봤다고 생각
하면 도합 70 미터 정도 손해를 보고 빠져 나간것입니다. 즉 ... 풋바를 사용 안했을때보다 50 미터 이득을 본것이지요.
그런 개념입니다. 어려운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대기 활공비는 나빠지지만 대지 활공비는 좋아졌다는 뜻이지요.
선수들은 그냥 왔다리 갔다리 하는 비행이 아니고 어디 목표를 정해두고 빨리갔다오기 경기를 합니다.
당연히 빨리 갔다와야 하므로 활공비에서 손해를 보더라도 빠른 속도로 가는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보통때는 50프로 이상
은 밟지 않기 때문에 활공비에 아주 큰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부드럽게 감아 올린다는 이야기는 초기 써멀은 약합니다.
기체는 뱅크각을 크게 할수록 빨리 돌아가고 침하율이 커집니다.
그러니 써멀 상승율보다 침하율이 더 커지면 곤란하겠지요. 이것을 말함입니다. 써멀 상승률은 일반적으로
올라갈수록 커지면서 안전성을 보입니다. 초기 써멀은 약하면서도 까탈스럽지요. 그러니 뱅크각을 아주 적게 하여
몸을 써가며 써멀을 잡고 올라가다가 커지면서 핵에 들어갔다 싶으면 핵에서 머무르는것이 주위을 빙빙 도는것보다
좋으므로 뱅크각을 많이 주어서 그 뱅크각 때문에 약간의 손해는 보더라도 핵에서 머무르는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될때
적게 돌리지요.
낮은 고도에서 써클링은 누구나 조심스럽게 올립니다. 반바퀴는 손해보고 반바퀴는 올라간다고 생각들때 그래도 둘의
합이 올라가는게 클때 부드럽게 돌리면서 상승을 하다보면 나중에는 회전 전체가 올라가게 되지요. 써멀은 올라갈수록
넓어지고 강해지거든요. 써클링은 그냥 돌리는게 아니고 계속 끊임없이 써멀 강한쪽으로 파고 들어가면서 방향을 수정
하는것입니다.
그럼 즐건 하루 되세요.
///////////////////////////////////////////////////////////////////////////////////////////////////////////////
딱히 물어볼데가 없어 여쭈어 봅니다
풋바의 용도를 보면
바람이 세져서 뒤로 밀리고 전진이 안될때 풋바를 사용하고,
약간의 바람이 있을시 어느 지점을 타켓으로 정해놓고
그냥 전진하면 고도가 100떨어진다고 가정하면 풋바 사용시에는 100보다 덜 떨어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내용이 마니 난해하나^^)
한마디로 고도가 덜 떨어진단 애기죠
선수급들 보면은 평상시에도 풋바를 자주 사용하더라구요~~
평상시에 풋바를 자주 사용하는 이유가 본가요??
그리고 써멀을 잡는데 저는 잘 안되거든요??
매텔님 일지 보니까 낮은 고도에서 써멀을 발견하여 부드럽게 감아 올린다는데
"부드럽게"란 어떻게 돌리는걸 부드럽게 돌리는건지??
그리고 낮은고도에서 열이 작다보니 잡기가 힘든거 같아요
열을 잡는 요령이나 팁 같은건 없나요??
물론 비행하다 어깨끈쪽이 땡겨주는 쪽을 체중을 실어주면서 올라간 만큼
브레이크 코드를 잡아주면서 회전을 하면 되는데 저는 잘 안되는이유가 왜죠?
'비행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LTF 없어지고 모든 테스트는 EN 방식으로 변경 소식 (0) | 2008.12.04 |
---|---|
[스크랩] 구글어스에 각종전자지도 입히기... (0) | 2008.10.06 |
[스크랩] 써멀링 기술 종합 (0) | 2008.10.06 |
우중(雨中)비행의 경우 글라이더가 아니라 낙하산이 된다? 브레이크 조작 X (0) | 2008.10.03 |
크로스컨트리 경기방식! (0) | 2008.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