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lse{ var randNum = Math.floor(Math.random() * 2); //alert(randNum); //randNum = 1; //if(randNum == 0){ // document.write(""); //}else{ document.write("\

10·26 서울시장 ‘선거방해’가 사실로 드러났다. 선거 당일 직장인들의 출근 전 투표 시간대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인터넷 홈페이지가 공격을 받았다. 젊은이들의 투표를 막고자 선거를 총괄하는 국가기관에 ‘사이버 테러’를 가한 것이다.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가 ‘스핀닥터(정치홍보전문가)’로 기용한 최구식 한나라당 의원의 수행비서가 이번 사건에 연루된 것으로 조사됐다. 주목할 대목은 정국을 뒤흔든 메가톤급 사안을 쟁점화한 주체는 주류 언론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 편집자 주

“아침에 일찍 투표하고 출근해야 하는 직장인들은 의례 있던 투표장이 없으면 스마트폰으로 투표장을 찾아야 하는데 중앙선관위 인터넷 접속이 안됐다.…오전 6시부터 8시30분까지 홈페이지는 접속이 되는데 자기 투표소를 찾으려고 입력하는 DB와 연결하는 게 끊어진 뒤 (직장인들의 출근시간이 지난 뒤에) 복구됐다.”

‘딴지일보’ 김어준 총수는 10월 28일 인터넷 팟캐스트 <나는 꼼수다(나꼼수)> 제26회 방송분에서 서울시장 선거방해와 관련한 의혹을 제기했다. 평일에 치러진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투표소 위치가 상당수 옮겨졌고, 출근길에 투표장에 나서려던 젊은 직장인들은 투표소 위치를 찾지 못해 애를 먹었다는 얘기다.

선거를 방해하기 위한 누군가의 ‘음모’를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이었다. 주류 언론들은 선거결과 분석과 정국에 미칠 영향에 주목했을 뿐 ‘선거방해’ 이슈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하지만 일주일에 한 번 방송되는 ‘나꼼수’는 꾸준히 쟁점화에 나섰고, 방송에 나온 얘기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널리 퍼졌다.
보수언론은 ‘나꼼수’ 주장을 괴담으로 치부했다. 그런 보수언론들이 쥐구멍에 들어가야 할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2일 ‘좀비 컴퓨터’를 이용해 중앙선관위 홈페이지를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한 용의자를 발표했다.

 

   
지난달 1일 서울 여의도공원에서 열린 ‘나는 꼼수다 서울공연’에 등장한 나꼼수 4인방 (김용민, 김어준, 정봉주, 주진우-왼쪽부터)이 5만여 관중에게 인사하고 있다.               이치열 기자 truth710@

 

결과 발표는 충격 그 자체였다. 경찰 수사 결과 한나라당 쪽 인사가 중앙선관위와 박원순 후보 홈페이지 사이버 테러 사건에 연루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홍준표 대표가 ‘스핀닥터’로 기용했던 최구식 홍보기획본부장의 수행비서 공아무개씨가 IT업체 관계자 강아무개씨 등과 공모해 사건을 일으켰다는 경찰 발표가 나왔다.

서울시장 선거방해는 ‘괴담’이 아닌 실체가 있는 사건이었던 셈이다. 경찰 발표는 12월 3일자 주요 신문 1면을 장식한 핵심 이슈였다. 중앙일보는 <최구식 의원 비서가 선관위 홈피 공격>, 동아일보는 <범인은 여 최구식 의원 수행비서>, 조선일보는 <10·26 선관위 해킹 범인은 여 의원(최구식) 운전기사>라는 1면 머리기사를 내보냈다.

주목할 대목은 서울시장 보궐 선거 이후 경찰 발표가 나오는 한 달 동안 서울시장 ‘선거방해’ 이슈를 쟁점화한 주체는 주류 언론이 아닌 ‘나꼼수’ 팀이었다는 점이다. 실제로 서울시장 선거 당시 투표소 위치가 대거 바뀌었다는 점은 ‘나꼼수’에서 ‘팩트’를 확인한 뒤 언론이 뒤늦게 받아쓰기도 했다. 언론은 당연히 관심을 가져야 할 ‘합리적 의문’을 외면했고, 그 역할을 ‘나꼼수’가 대신 한 셈이다. ‘나꼼수’ 출연진 중 현직 기자는 시사인 주진우 기자 한 명뿐이다.

주류언론과는 취재인력이나 취재여건 면에서 비교도 되지 않는 ‘나꼼수’가 아젠다를 이끌어가고 있다는 점은 한국 언론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다. 서울시장 선거방해 사건은 파장을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 사안이라는 게 정치권 인식이다.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은 지난 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디도스는 보통 일이 아니다. 한국판 워터게이트 사건이고, 정권을 탄핵하고도 남는 사안이다. 사이버 3·15 부정선거”라고 비판했다. 의문은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다. 범행에 필요한 자금이나 소요된 기간 등을 고려할 때 최구식 의원의 수행비서가 주도한 범행이라고 하기에는 석연치 않다는 게 전문가의 공통된 인식이다.

조선일보 기자 출신인 최구식 의원은 사건 직후 국회 정론관을 찾아 “일부 언론에서 보좌관이라고 하는데, 의원실 업무를 보좌한 것이 아니라 1년 3개월 동안 제 운전기사로 일했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이 기자들에게 전한 짧은 해명의 글에서 사건 당사자가 ‘운전기사’라는 점을 4차례나 강조한 것은 의원실 업무 관련성을 차단하려는 의도가 담긴 행동이다.

그러나 국회의원 운전을 하는 수행비서는 어떤 보좌관(비서관)보다 의원과 밀착해 생활하는 인물이다. 운전을 담당하는 수행비서라고해서 최구식 의원이 책임을 면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얘기다.

언론이라면 ‘진짜 몸통’은 누구인지 합리적 의문을 풀고자 노력하는 게 마땅한데 다시 ‘물타기’를 시도하려는 움직임도 엿보인다. 조선일보는 12월 5일자 4면에 <“공씨, 전날 새벽 술자리서 한번 해보라고 지시 실제 성공하자 깜짝 놀라 중단 지시…이미 늦어”>라는 기사를 실었다. 해당 기사는 사정당국 관계자 주장을 인용한 내용으로 기사대로라면 새벽에 술을 마시다가 징역 10년형을 받을 수도 있는 ‘선관위 테러’를 준비했다는 소설 같은 얘기다.

이번 사건은 여권 내부에서도 적당한 물 타기나 꼬리자르기로 넘어갈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는 지적이나오고 있다. 경찰 수사가 핵심을 빗겨갈 경우 국회 국정조사나 특별검사 수사 등에 대한 여론의 압력은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논란의 핵심은 이번 사건의 ‘진짜 몸통’을 찾는 것이다. 또한 중앙선관위 내부의 협력 가능성도 풀리지 않는 의문이다. 전문가들은 ‘로그파일’만 공개하면 의혹은 풀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중앙선관위는 공개에 소극적이다. 게다가 국가정보통신망을 사이버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국가정보원이 사건 수습은커녕 방치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는 등 논란은 점차 번지고 있다. 

박영선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국정원은 강모씨 일행이 감행한 디도스 공격을 탐지한 이후에 퇴치시킬 수 있는 충분한 능력과 시간이 있었다. 그럼에도 투표 당일 2시간동안 방치가 됐다. 이 부분도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하며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봉주 전 의원은 6일 평화방송 라디오인터뷰에서 “디도스 공격을 했다고 하는 것을 겉으로 보여줬지만 (그것은 일종의 속임수고 투표장소를 찾는 DB가 담긴) 특정 서버를 공격할 수 있었던 것은 내부에서 그 서버에 손을 댔던지 내부에서 문을 열어줬던지 둘 중 하나”라면서 선관위 로그파일 공개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