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슬픈 이야기

해방된지가 언젠데 일제의 칼날에 죽은 독립투사 일가족 6명은 아직도 공동묘지에 ? 부역자들은 사회지도층 되고 독립투사 후손들은 하층민되는 나라!

by skyrider 2012. 2. 27.

[단독] 동네 공동묘지에 묻힌 3·1운동 선열 일가

MBN | 입력 2012.02.27 05:03
댓글  49 툴바 메뉴 

【 앵커멘트 】

3·1 운동 과정에서 일제의 총칼에 순국한 선열 6명이 동네 공동묘지에 묻혀 있다면 믿으시겠습니까?

당시 일가였던 6명이 한꺼번에 희생되면서 가문은 풍비박산 났지만, 현재는 순국 현장조차 방치돼 있습니다.

갈태웅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 기자 】

1919년 4월 15일 낮, 옛 경기도 수원군 향남면 제암리.

일본군 보병 부대가 주민들을 교회 예배당에 몰아넣은 뒤 불을 지르고, 총칼을 휘둘렀습니다.

계속되는 지역 만세운동에 일본인 순사 2명까지 처단되자 보복한 것입니다.

주민 23명을 참살한 일본군은 이어 걸어서 10분 거리인 고주리로 향합니다.

그리고 지역 만세운동의 중심인물 김흥열 열사와 가족 등 6명을 끌어내 칼로 살해한 뒤 시신까지 불태웠습니다.

시신은 사흘 뒤에야 일본군 몰래 산너머 월문리 공동묘지에 묻힐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93년 뒤.

이들의 시신이 묻힌 공동묘지엔 그 흔한 기념비조차 없습니다.

그나마 3개가 남은 봉분도 누구의 것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 스탠딩 : 갈태웅 / 기자

- "김흥렬 열사 등 고주리 독립운동가 6명이 일본군의 총칼에 순국한 곳입니다. 93년이 지난 지금도 버젓한 기념비는커녕 사실상 방치돼 있는 실정입니다."

후손들은 분통이 터집니다.

윗세대 3명과 그 윗세대 3명이 한꺼번에 희생되면서 가문 명맥조차 잇기가 어려웠지만, 철저하게 외면당해왔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김연목 / 김흥열 열사 증손자

- "후손으로서 하여튼 죄송합니다. 선조께 할 도리를 못하는 것 같아서…."

독립을 위해 일가가 목숨을 바쳐도 제대로 된 조명은커녕 후손들까지 궁핍을 면하지 못하는 세태, 역사를 대하는 우리의 현실입니다.

▶ 인터뷰 : 김종택 / 김흥열 열사 손자

- "피 흘리고 돌아갈 때 후손들을 위해서 했느냐 이 말이야. 어? 후손들을 위했으면, 후손들이 공부도 잘하고, 돈도 많고 잘 살아야지."

MBN뉴스 갈태웅입니다. [ tukal@mk.co.kr ]

< Copyright ⓒMBN(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